최근 몇년 동안, 콜택시 기사들의 권익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 부서의 협동하에 콜택시 업계 내부에 수수료를 30% 이상 받아서는 안된다는 규정이 형성되었지만 현재는 규정이 없어지고 있다.
현재 많은 콜택시들이 내야 하는 수수료는 거래금액의 30%가 넘으며 심지어 50% 가까이 될 때도 있다. 그 원인은 바로 종합 플랫폼(聚合平台)이 생겨나서부터이며 콜택시 오더는 층층판매(层层转卖) 되어 실제 수수료 비율이 대폭 증가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11.77키로의 거리를 35분 동안 달려야 하며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요금은 40.2위안이지만 기사가 실제도 받는 금액은 23위안밖에 되지 않는데 약 40%의 비용이 수수료로 지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업계에 보편적인 음양계산서(阴阳账单)가 존재하는데 즉 기사는 승객이 실제로 지급한 비용을 모르고 승객도 기사의 실제 수입을 알 수 없다. 또한 플랫폼의 수수료가 얼마인지도 기사와 승객은 알리가 없다. 그리고 층층판매 현상으로 인해 기사들이 받은 오더는 이미 두번, 세번 걸친 오더가 될 수 있다.
근년래 유행인 종합플랫폼은 전통 콜택시 서비스가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본질은 중개역할을 하면서 콜택시 플랫폼과 사용자 사이에서 공급과 수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2년 7월에 처음으로 월 종합 주문량을 발표해서부터 2023년 7월까지 종합 플랫폼의 주문량은 7,900만 개가 증가하였으며 증장폭은 동시기 대비 52%이다. 콜택시플랫폼의 주문량은 1.26억 개가 증가하였으며 종합 플랫폼은 업계 증가량의 63%를 차지하여 콜택시 수요 증장의 주력이 되었다.
승객은 종합 플랫폼에 여러 콜택시 플랫폼이 모두 있어 차를 잡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였고 콜택시플랫폼은 승객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를 완화하였다. 특히 소형 콜택시플랫폼에게 더욱 많은 생존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많은 콜택시 기사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였다.
2019년 이후, 중국의 콜택시 사용자 규모가 기본적으로 안정되었지만 콜택시 기사의 수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23년 10월, 중국의 콜택시 기사는 2020년 말의 289.1만 명에서 633.4만 명으로 늘어났다.
수요와 공급의 변화는 콜택시를 운영해 돈 벌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만들었으며 일부 기사들은 더 많은 시간과 건강을 대가로 기본수입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플랫폼이 더 많은 수수료를 가져가는 것은 기사들로 하여금 상처를 받게 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권익과 업계의 발전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때문에 감독관리측의 책임은 어느 한측에 기울릴 것이 아니라 감독관리조치를 부단히 개선하여 여러 측의 이익을 균형화하고 업계의 질서를 유지하고 업계의 건강하고 질서있는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칸칸차이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2025 칸칸차이나.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