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올림픽이 다가오면서 중국 이우(义乌)가 다시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절강성 이우국제상무성에서는 많은 프랑스 요소 상품이 시장의 눈에 띄는 위치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때때로 바이어들이 찾아와 스포츠 의류, 보호구, 응원용품 등 올림픽 관련 제품을 주문했다.
'이우·중국 소상품 지수'에 따르면 3월부터 스포츠오락용품류 상품 가격 지수는 3월부터 몇주 연속 상승했다. 이우 세관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1~2월 이우의 스포츠 용품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70.5% 증가했으며 프랑스에 대한 수출액은 5억 4천만 위안에 달하여 전년 동기대비 42% 증가하였다.
카타르 월드컵, 청두 유니버시아드, 항저우 아시안게임, 파리 올림픽 등 중요한 대회에서 이우는 항상 비즈니스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종류가 많고 이우 제조의 깊은 축적을 반영한다. 이우 상무성을 지나가면 75,000개의 사업체와 210만개 이상의 26개 카테고리의 상품이 있으며 제품의 수는 눈이 부시게 많다. "여기서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고 그 안에 있어야 '세계 슈퍼마켓'의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라고 이우에 처음 온 모로코상인 아유비가 말했다.
생각하지 못한 것이지 살 수 없는 것은 없다. 이것은 이우가 전 세계 고객들을 유치하는 매력이며 이면에는 제품 생산에서 브랜드생성에 이르기까지 제조업체의 놀라운 변화가 있다. 라켓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서 이우시 승파스포츠용품유한회사에는 600개이상의 제품이 있다. "제품 라인을 부단히 풍부하게 하고 브랜드 운영을 실현하며 우리의 해외 시장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고객 주문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라고 회사 책임자 우여옥(虞如玉)은 말했다. 2023년 이우의 수출입액은 5600억 위안을 초과하고 성장률은 15%를 넘었다.
제품의 새로움, 고품질의 발전 추세를 보여준다. 매주 여러 신제품이 출시되고 자체 브랜드의 비율이 증가하고 고급 제품의 부가가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우에서는 다양한 소상품들이 저가 및 저가 제품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꾸고 있으며 각 자체 디자인 핫한 제품은 모두 디자인, 원자재, 제조 및 기타 측면에서 고품질개발을 계속 추구한다.
"올림픽과 같은 대형 대회는 보통 4년마다 열리는데 비즈니스 기회를 잡으려면 가장 근본적인 것은 끊임없이 혁신하고 제품을 전문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업계에 진입한 지 30년이 넘은 이우국제상무성경영자 우샤오밍(吴晓明)은 주문이 끊이지 않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경쟁이 치열하고 잠재력이 넓은 시장에서 혁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수천개의 기업이 파도를 헤쳐 나가기 위한 기반이자 자신감이다.
사슬이 완전하여 대국 경제의 활력을 드러낸다. 소상품이 큰 산업을 집결시킨다.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좋고 고효율과 혁신의 이우소상품의 배후에는 20개이상의 산업 클러스터와 210만개의 중소기업이 연결되어 있다.
지퍼산업을 예로 들면, 작은 '이우제' 지퍼는 생산량이 전국의 30%를 차지하고 수출이 전국의 60%를 차지하며 중국의 지퍼생산량은 세계의 약60%를 차지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과학 기술 혁신을 통해 고급 시장에서 이우 지퍼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완전한 산업체인 공급망과 글로벌 산업체인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중국 제조가 글로벌 공급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우 서역에서 쉬지 않고 질주하는 중국-유럽 열차가 '메이드 인 차이나'를 가득 싣고 유라시아 대륙으로 향했다. 동북쪽으로 200여km 떨어진 닝보 저우산(宁波舟山) 항은 하역이 끊이지 않고 새로 개통된 용금철도(甬金铁路)는 이우와 닝보 저우산항 사이에 더 편리한 화물운송통로를 제공한다.
오늘날 이우에는 전 세계 100여개 국가와 지역의 15,000여명의 해외 상인이 상주하고 있으며 상품은 대내 물류를 통해 1,500여개의 현과 시에직통할 수 있고 대외적으로 '일대일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역은 전 세계 230여개 국가와 지역이 포함된다.
한 누리꾼은 "올림픽이 어디서 열리든 이우는 주문폭주다"라고 말했다. 이우라는 창을 통해 세계는 중국 제조업 규모가 세계 1위라는 하드 파워를 볼 뿐만 아니라 중국 발전의 강한 내생적 동력, 근성, 잠재력, 중국의 초대형 시장이 가져올 광활한 새로운 기회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칸칸차이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2025 칸칸차이나.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