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쇼핑플랫폼 테무(Temu)에 상품을 공급하는 판매자 수백명이 중국 광저우(廣州)시 테무 본사 앞에서 대규모 항의 시위를 벌였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보도했다. 중국 공급업자들이 시위에 나선 것은 테무가 고객이 불만을 제기하거나 환불을 요청할 경우 엄청난 벌금을 부과하고 상품 대금 지급을 보류하는 등 자신들에게 가혹한 조건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지난 29일 오후 테무와 모회사인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PDD홀딩스)가 있는 광저우 사무실에 모여든 공급업자들은 수십명에 달했고, 그에 앞서서도 이들은 테...
중국 내 수십 곳이 넘는 자동차 업체의 '저가 경쟁'과 '원가 후려치기' 속에 부품 업체들이 경영난은 물론 기술 혁신 저하 현상까지 겪고 있다고 중국 매체가 보도했다.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은 지난 1개월간 화둥(華東·산둥성과 상하이, 안후이성, 장쑤성, 장시성, 저장성, 푸젠성 등 동부 연안) 지역 취재 결과 소규모 자동차 부품 기업들이 문을 닫았다는 소식을 잇따라 접했다고 30일 전했다. 신문은 공급망 윗선에 있는 부품 업체들의 상황도 좋지 않다고 덧붙였다. 지난 5월부터 중국에 있는 보쉬와 ZF, 콘티넨탈AG 등 자동차 ...
중국 위안화 해외 사용이 급증해 파운드와 엔화를 제쳤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민대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작년 위안화 평균 국제화 점수가 6.27점으로 전년 대비 22.9% 올랐다고 밝혔다. 점수가 높을수록 해외 사용이 빈번하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각각 4.4점과 3.76점을 기록한 일본 엔화와 영국 파운드화보다 높은 수치다.그러나 미국 달러화는 51.52점, 유로화는 25.03점으로 위안화를 크게 앞섰다. 달러 패권의 균열을 노리는 중국은 오래...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중견기업·산둥성 상무청 간담회'를 열고 한국 중견기업의 중국 산둥성 진출 확대와 교류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22일 밝혔다. 산둥성은 장쑤성, 광둥성에 이어 한국과 교역 규모가 큰 지역이다. 유라코퍼레이션, 이화다이아몬드공업, 패션그룹형지 등 주요 중견기업을 포함해 4천500여개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지난 19일 열린 간담회에서 중견기업인들은 "산둥성의 노동·환경 규제와 복잡한 세금 체계가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다양한 기관의 적용 법규가 상이해 행정 절차 이행에...
중국에서 여성 구직자들에게 불법으로 임신 테스트를 한 회사들이 적발됐다. 인구 감소에 직면한 중국이 추락하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일터에서는 여전히 임신과 출산을 이유로 여성 노동자들을 기피하고 있는 현실이 드러난 것이다.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장쑤성 난둥시 검찰은 여성 구직자를 상대로 불법 임신 테스트를 한 회사 16곳을 적발했다고 중국 검찰일보가 전날 보도했다. 검찰일보는 적발된 기업들에 벌금이 부과됐는지는 밝히지 않았으나, 해당 기업들이 불법 임신 테스트를 시정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17일 중국 상하이에서 사흘간의 일정으로 개막한 '중국 유아용품 전시회'(CBME China 2024)에 한국관을 열고 국내 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1년 시작된 중국 유아용품 전시회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ABC 키즈 엑스포'와 독일 쾰른의 '유아용품 박람회'(KIND+JUGEND)와 함께 세계 3대 유아용품 전시회로 꼽힌다. 올해 전시회에 약 3천500개 기업과 4천여개 브랜드가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216㎡ 규모로 마련한 한국관에는 유아용 위생용품, 화장품, 건강...
최근,중국이민관리국의 공지에 따르면 7월 15일부터 하남 정저우항공해관(郑州航空口岸)은 144시간 입경 무비자정책을 실시하며 하남성 행정구역에 머무를 수 있다. 기존 윈난성 쿤밍시에서만 144시간 무비자 입경이 가능했었지만 리쨩, 위시(玉溪), 푸얼, 추슝(楚雄), 대리, 시솽반나, 홍하(红河), 문산 등 9개 시(주) 행정구역으로 확장한다.그리고 정저우 신정국제공항, 리쨩 산이국제공항과 머한철로해관(磨憨铁路口岸) 등 3개 해관도 144시간 입경 무비자정책이 적용된다. 현재까지, 중국이민관리국은 베이징, 톈진, 하북 석...
중국 정부가 자국 최초의 전자 비자를 외국인에게 발급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상하이시 공안국 출입경관리국이 발급한 최초의 전자비자(e-visa)를 소지한 싱가포르 출신의 중모씨가 전날 오후 1시(현지시간)께 항공편으로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 도착했다.그는 입국 심사를 통과함으로써 전자 비자로 중국에 들어온 최초의 외국인이 됐다. 중씨는 "전자 비자의 신청과 사용은 매우 편리하다"며 더 이상 종이 비자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e-비자'로도 불리는 전자 비자는 전통적인 비자를 디지털화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