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부 광시성의 거대한 자연 싱크홀들이 관광명소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영국 BBC방송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에는 거대 싱크홀(깊이·지름 각각 100m 이상)이 300개가 넘는데 중국에 3분의 2가 몰려있으며, 광시성에만 30개가 분포돼 있다. 광시성에 석회암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지하의 강이 주변 석회암을 천천히 녹이면 동굴이 생기고 결국 땅이 무너져 싱크홀이 생긴다. 광시성에서 가장 크고 가장 최근에 발견된 것은 2022년 중국 동굴 탐험가들이 찾은 깊이 300m, 지름 150m 규모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가 18일 프리미엄 스마트폰 '메이트(Mate)70'의 사전 예약을 시작해 4시간 만에 선주문 150만건에 육박하는 기록을 세우는 등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통신과 커촹반르바오(科創板日報), 차이롄셔(財聯社)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화웨이는 이날 오전 웨이보 계정에 메이트 70 시리즈의 공식 티저를 공개하고 낮 12시 8분부터 자사 온라인몰을 통해 메이트 70의 사전 예약 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접수 시작 5분 만에 27만건, 10분 만에 40만건 이상 주문이 들어왔고 약 1시간 20여분 ...
중국이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 자국 주요 공항이 명실상부한 '국제 항공 허브'가 되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세계적인 '슈퍼 항공사' 두세곳을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2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중국민항국과 거시 경제 주무 부처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국제 항공 허브 건설 추진에 관한 지도 의견'(이하 추진 의견)을 발표했다. 중국민항국은 연간 여객 1천만명을 소화한 중국 공항은 2012년 21곳에서 현재 41곳으로 늘었고, 베이징 서우두공항 여객량은 세계 2위, 상하이 푸둥공항은 9위, 광저우...
중국 경제 둔화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 않으면서 요식업계가 부진의 늪에 빠진 가운데 지난 20여년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도시 생활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버블티도 초저가 경쟁을 펼치고 있다고 AFP 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FP는 최근 수십년간 중국 전역의 도심 거리와 쇼핑몰에서 대용량의 화려한 버블티 1회용 컵에 빨대를 꽂은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었고 이는 중국 경제 성장을 보여주는 광경이었다고 짚었다. 이어 많은 버블티 체인점들이 25∼40위안(약 4천700∼7천500원)의 프리미엄 제품을 출시하며 번창했고,...
홍콩 공립학교들이 오는 9월 2024∼2025학년도 신학기를 앞두고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의 전학 신청이 전례 없는 규모로 급증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과 인접한 홍콩 북부 지역을 비롯해 홍콩의 많은 공립학교에 최근 몇개월 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의 전학 신청이 쇄도했고, 일부 학교에서는 정원이 넘쳐 교육 당국이 소개한 지원자들도 돌려보내야 했다. 또한 지원자 대부분의 영어 실력이 부족해 학교들이 이들을 위해 여름방학 기간 영어 특별수업반을 편성하거나 ...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5위에 불과한 샤오미가 인도, 남미, 일본 등 해외 시장에서는 가성비를 앞세워 높은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샤오미가 2분기에 남미로 전년 동기보다 35% 많은 620만개의 스마트폰을 수출해 1천20만개를 수출한 삼성전자에 이어 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남미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 점유율은 30%이며 샤오미는 19%로 나타났다. 모토로라(17%), 트랜션(9%), 아너(5%)가 뒤를 이었다. 카날리스의 미구엘 페레...
중국이 개발한 상용 적재량 2t급의 쌍발 엔진 무인 수송기가 시험 비행을 마쳤다고 중국 관영매체들이 전했다. 12일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전날 해당 중국 무인 수송기는 남부 쓰촨성 쯔궁펑밍공항에서 20분간의 첫 비행 시험을 성공리에 종료했다. 이 무인기(드론)는 윙스팬(한쪽 날개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직선거리) 16.1m에 전고 4.6m 크기다. 적재 공간은 12㎥로 2t급 상용 적재 능력을 갖췄다. CCTV는 "중국 시장 수요에 맞춰 개발된 최대 규모의 전체 국산화 대형 무인 수송기"라며 "쉬운 적재와 높은...
중국 내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이 총 167만개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6일 보도했다. SCMP는 기업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치차차(Qichach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설립된 중국 AI 기업이 23만7천개에 달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특히 중국 전체 AI 기업 가운데 90%에 육박하는 148만개는 국무원이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내놓은 2017년 이후 세워졌다. 또 작년 AI 관련 신규 기업 등록 건수는 46만7천개나 됐다.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대규모 투자한 오픈AI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