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석은 반제국주의 학생운동에 참여하다가 반일 학생으로 낙인이 찍혔습니다. 1925년5월30일 상하이에서 반제국주의 운동을 하던 학생과노동자들이 사살되고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베이징에서도 몇 차례 민중대회가 열렸습니다. 베이징 조선 유학생회도 반제국주의 투쟁을 지원하여 유기석이 기안한 전단 5천 부를 인쇄했습니다. 1925년 난징시절 6월30일, 천안문광장에서 거행된 군중대회에서 베이징 조선 유학생회 대표 유기석이 첫 번째로 단상에 올라가 연설했습니다.“조선...
창춘(长春), 션양(沈阳),톈진(天津)을 거쳐 동방에서 제일 큰 도시 상하이에 도착한 유기석은부친의 친구이자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李東輝, 1873~1935)선생을찾아뵈었습니다. 향후 어떻게 해야 할지 지도를 요청하며 이동휘 아저씨 댁에 머무는 동안 여운형(呂運亨, 1886~1947)선생과 이광수(李光洙, 1982~1950)아저씨도 만났습니다. 여운홍 선생 집에서 이광수와 함께 산 적이 있는데 이광수는 종종 유기석에게 조선 문학을 가르쳐 주고 또 도산 안창호(安昌浩, 1878~1938)도소개해주었습니다. 도산은 특별히 유기...
유기석은 1919년 삼일 만세운동 때부터 독립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옌지(延吉) 도립 제2중학교2학년 때 삼일 만세운동을 맞았는데, 1919년3월12일 밤,학우들은 밤을 새우며 전단을 찍고 태극기를 만들었습니다.태극기를 빨리 만들기 위해 직사각형의 아연판에 구멍을 뚫고 태극기 모양으로 잘라 붉은색,남색,흑색 잉크를 솔에 묻혀 한번 칠하면 바로 국기 한 장이 되어 밤새 수 천장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단과 태극기는 “충렬단”이란 명의로 배부했습니다. 나이가 많은 학우들은 미국 대통령 윌슨이‘민족자결’의 원칙을 제기했기...
독립운동 지사 중에 유기석이란 이름을 들어보셨는지요? 어린 나이에 일찍이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양심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솔직하고 진솔하게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분입니다. 유기석은 우리나라 독립운동 중의 한 갈래를 형성하는 무정부주의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했는데 잘 알려지지 않은 지사입니다. 해방 직전에는 주로 일본군에서 복역하는 한국인 학도병 탈출시키는 일을 했는데 장시(江西) 옌산(沿山)에서 학도병이 훔친 일본군의 전략과 방어계획 등이 기록된 문서를 임시정부에 전달하려고 충칭을 향해 가다가 광복을 맞이했습니다. 유...
1945년12월,김원봉은 서울로 돌아왔으나 자신이 설 자리가 없었습니다. 그렇게도 바랐던 광복이 되었고 그리운 조국이었으나 이게 어찌된 일인지요. 친일파 경찰에게뺨맞고, 중국에서경험하지못한수모를당합니다. 테러 위협도있었습니다.조국 국토는38선으로 양분되고 미소 양군이 주둔해서 한반도를 쥐락펴락했습니다. 완전 독립을 이루지 못한 조국이지만 그래도 김원봉은 대중적인 전국 조직을 결성해서 좌우합작과 민족 반역자 배제 등을 주장하며 민족이 단합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해야 한다는 강한 정치적 신념을 내세웠습니다.해방정국은 어수선했습...
조선의용대는 중국군사위원회정치부 소속이며 독자적인작전권이 없었습니다.전단을살포하거나벽보를 부착하고대일심리전을 전개하는 등 후방에서 제한된 업무에 종사했습니다. 1939년 말,조선의용대 대원이 늘어나 모두314명이나 되었습니다. 제1구대 일부대원과귀순포로 등을 합하여 조선의용대 제3지대를 편성했습니다. 그때 공산당 팔로군은 타이항산구(太行山區)에 들어가 총을 들고 직접 일본군과 싸웠습니다. 조선의용군 시절의 김원봉 민족적자존심이 강한 조선의용대원들은국민당이 지시하는 후방 ...
1937년7월 7일,본격적인 중일전쟁이 시작되자 중국은 엄청난 위기에 처했습니다.중일전쟁이 발발하고3일이 지난7월10일,장제스는 한국독립운동 진영의 대표들을 초청했습니다.민족주의 계열의 김구, 좌파 계열의 김원봉,무정부주의 계열의 류자명을 한자리에 불러,자금은 두둑하게 지원할 테니 한중 연합 항일전선을 만들자는 것이었습니다. 중화부흥사(中華復興社, 藍衣社) 간사로 일하는김원봉의 황푸군관학교 동기생 캉쩌도 김원봉에게한국청년들을중국군대에파견해서군사훈련을받게 하자고제의했습니다. 김원봉은 신속히 행동을...
재중한인 독립운동계는30년대초까지만해도통일된기구가없었습니다.1935년7월 5일,김원봉은 난징 중앙대학교에서 한국독립당,의열단,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미주 대한독립당등5개정당을 통합해서 민족혁명당을 창당했습니다.재중항일운동계에 있어서 규모가 가장 큰 정당입니다. 김원봉이레닌 정치학교를운영한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김구와 한국독립당 계열의 몇몇임시정부인사들을 민족혁명당참여를거부했습니다.이들을 제외하고 좌우파 재중한인독립운동가들이 거의 집결하여 민족혁명당 인원은 약500여명이 되었습니다. 민족혁명당 창당 시 서기장은 김원봉,조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