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열단 단장 김원봉(金元鳳, 1898~1958)이 황푸군관학교 졸업생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는지요? 김원봉은 최림(崔林)이란 가명으로 황푸군관학교에 입교했습니다. 김원봉에 대해 워낙 논쟁이 많은지라 교실에서 언급하지 않으려고 했으나 그래도 기본적인 정보는 공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몇 차례 자료를 올리겠습니다. (1) 조국해방방략을모색한소년 1910년 국권이 피탈되던 해, 김원봉은 일본인이 설립한 학교에 다니다가 나라가 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김원봉과 윤세주(1901~1942) 등 몇몇 소년들은 설음을 이기지 못하고...
광저우한국학교는화남지역 유일의 대한민국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로,광동성 정부와 대한민국 교육부의 인가를 받아 대한민국에서 초빙한 선생님들께 우리 교육과정과 교과서로 배우고 익히고 있다.올해2학기에는 초등21...
1935년, 황푸군관학교 6기생 노식은 강릉에서 조선공산 당재건운동에 종사하다가 검거되었습니다. 신분은 신문 배달부였습니다. 1933년 9월 하순부터 10월 11일까지, 서대문 경찰서에서 공산당 간부급 인물과 각지의 남녀학생 공작원, 여자 직공 등 80여 명을 검거했습니다. 취조 중 우연히 강릉 공산청년동맹 연구원들이 동지를 획득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공산주의를 선전하며 활동한다는 것이 포착되어 비밀 조사를 시작한 것입니다. 이를 근거로 경성, 강릉, 평양 등 남북 각지의 시골까지 형사대를 출동시켜 석 달 동안 관련 공작원 230여 ...
오상선(吳尙善, 1900~?)은 경성 출신이며 황푸군관학교 2총대 보병과 1중대소속입니다. 1933년 10월 16일, 경성 서대문경찰서장이 경무국장에게 발송한 공문 ‘조선공산당 재건동맹 사건 발각에 관한 건’에 의하면 오상선은 조선공산당재건동맹 경성지부 핵심 인물로 활동했습니다. 1925년 결성된 조선공산당은 여러 차례 일제의 탄압을 받았습니다. 당원들을 사상범이라고 체포해서 당 조직 자체 유지가 어렵게 되었는데, 그런 상황에서 소련의 공산국제는 조선공산당 조직은 지식인이 아닌 노동대중 속으로 들어가 결성하라고 지시했습니다....
1927년 12월 11일 새벽, 중국 공산당이 광저우 기의를 시작할 때입니다. 국민당 장교 차이션시(蔡愼熙)와 타오저우(濤鑄, 1908~1969)를 설득해서 공산당 봉기에 참여하도록 끌어들이려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먼저 두 사람을 설득하고 곧 경비단 전체 단원을 선동해서 경비단 한 개 중대가 전향하여 공산당 봉기에 참여했습니다. 국민당 경비단 장교 문선재와 김병현입니다. 문선재(文善哉, 1902~?)는 본명이 문종목(文宗穆)이며 평안남도 평원군(平原郡) 출신입니다. 황푸군교 4기 정치과 대대(政治科大隊) 2대 소속이...
황푸군관학교를졸업하고조선공산당재건운동에참여한몇분을소개하겠습니다.조선공산당은일제강점기혁명을통해부르주아민주주의정부를수립하려는한정당입니다. 예전에는일제강점기한국사회주의는민족주의와대립하는운동으로보았습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 학계에서 일제강점기 식민지 특수성으로 인해 한인 사회주의자들은 국제적인 사회주의 운동에 앞서 민족문제 해결을 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민족해방을 위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많은 분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기 전, 이미 독립운동에 종사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
황푸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공산당재건운동에 참여한 몇 분을 소개하겠습니다. 조선공산당은 일제 강점기 혁명을 통해 부르주아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하려는 한 정당입니다. 예전에는 일제 강점기 한국 사회주의는 민족주의와 대립하는 운동으로 보았습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 학계에서 일제강점기 식민지 특수성으로 인해 한인 사회주의자들은 국제적인 사회주의운동에 앞서 민족문제 해결을 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민족해방을 위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많은 분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기 전, 이...
1933년5월, 최정무는장시성지안현(吉安縣)에서국민당반포위토벌작전전투에참여했다가머리를다치고, 다리에는총알이박혔습니다.장기치료를받는동안 중앙 홍군은국민당당의제5차포위토벌전쟁을피해루이진을떠났습니다.이때 최정무는또 동료들과헤어져 소속된 조직을 잃었습니다. 당조직을 떠나 홀로 아무런 활약을할수없게 된 최정무는 당조직을찾으려고 막연히 상하이로 왔습니다.1935년봄, 상하이부두에서날품팔이하면서오가는사람중에서동지를찾았지만아무도 만나지못했습니다. 프랑스조계지에서사냥개에게물려인사불성이된적도있었습니다. 다행히모르는사람이상하이천주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