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던 임기점(临期店), 할인점이 사라지고 작년까지만해도 경영하던 매장들이 지금은 절반도남지 않았다. 이렇게 사라진 매장들은 하오터마이(好特卖), 쉰우서(寻物社), 할인소(折扣牛) 등 전국 및 지역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내고 있던 브랜드가 포함된다.
임기점, 할인점이 인기를 끄는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가격이다. 소비 저하의 환경에서 저가는 성공적으로 많은 소비자를 끌어들였고 트래픽과 판매량의 지원으로 이러한 할인점, 임기점은 빠르게 발전했다. 기회를 본 창업자들은 임기점, 할인점 사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자본의 지원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이것은 임기점과할인점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짧은 시간 내에 매장이 각 지역에 출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임기점, 할인점은 종종 대형 브랜드의 임기 제품, 저가제품 및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용품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빠르게 유치한다. 대형 브랜드+낮은 가격, 이러한 조합은 임기점, 할인점을 소비자들이 물건을 즐겨 사는 좋은 장소가 되었다.
저가와 저가간의 경쟁에서 임기점, 할인점은 우위를 점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상대는 더 강하고 똑똑하기 때문이다. 최근 2년 동안 사람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양판식(量贩式) 간식점일 것이다. 빠르게 확장되는 규모와 임기·할인점과 비슷한 패턴이 종종 하나로 분류된다. 그러나 둘 사이의 패턴은 분명히 다르다. 동일한 저가지만 공급망 모델의 차이, 경영모델의 차이, 소비층의 차이, SKU의 차이로 양판식 간식점은 경쟁에서 점점 더강해지고 있다.
슈퍼마켓 채널도 '저가'에서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출격하고 있다. 허마셴셩(盒马鲜生)은 작년에 5,000개 이상의 제품 가격을 낮추어 임기점과 할인점의 생존 공간을 더욱 줄였다. 또한 임기점, 할인점에 비해 허마셴셩을 대표로 하는 슈퍼마켓은 제품 품질, sku 수량, 브랜드 파워에서 더 유리하다.
경쟁 과정에서 '저가'는 장점 중 하나일 뿐이다. 허마셴셩, 샘스클럽(山姆超市), 알디(奥乐齐) 등 가게가 가져다 주는 쇼핑 체험, 제품 선택 및 고품질 체험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이런 마트에 들어오기를 더 원하게 한다. 이 외에 전통적인 슈퍼마켓도 변화하고 있으며, 각종 판촉 활동의 전개 및 임기제품 구역의 설치도 소비자를 지속적으로 분리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이러한 요구를 하는 더 큰 이유는 큰 환경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 때문이다. 환경이 점차 변함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와 소비 습관도 변화하고 가격에 관심을 가지는 것 외에 품질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임기점과 할인점의 모델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도태될 것이다.
임기점, 할인점과 양판식 간식점을 비교해보면 인테리어, 제품, 서비스에 있어서 모두 일정한 차이가 있다. 양판식 간식점에서는 매장의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가격은 저렴하지만 매장의 등급은 낮지 않고 더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임기점, 할인점은 대부분 들쭉날쭉하여 일부 체인점에서도 인테리어가 정교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허마셴셩과 같은 슈퍼마켓에 비해 차이는 더욱 커서 소비자에게 저가 외에도 더 많은 소비 체험을 가져다 줄 수 없다.
임기점, 할인점은 어느 정도 판매상들이 재고를 처리하고 소비자 소비가 저하되는 이중적인 수요에 따른 산물과 같다.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에 따라 수요는 점차 변화하고 있지만 임기점, 할인점의 경영모델은 변하지 않았다. 그러면 탈락의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저작권자 © (칸칸차이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2025 칸칸차이나.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