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백억 개 큐알코드 사용?! 정말 모두 써버릴 수 있을까?

하루에 백억 개 큐알코드 사용?! 정말 모두 써버릴 수 있을까?

생활속에서 큐알코드는 어디서든 볼 수 있다. 정보획득, 결제 등 상황에서 모두 사용가능하며 최근에 온라인에서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큐알코드의 하루 사용량은 100억 개가 넘으며 곧 모두 써버리게 된다"는 설이 돌고 있다.


큐알코드는 특정 기하 도형을 이용해 일정한 룰에 따라 평면에 위치한 흑백 블록이 결합한 데이터, 부호 정보를 기록하는 도형이다.


전문가는 "큐알코드는 저장량이 크고, 비밀성이 강하고, 추적성이 높고 손상이 적고 비용이 싼 등 특성이 있다. 특히 리스트, 보안, 추적, 증명사진, 재고관리, 자료관리 등 측면에서 적용된다."며 소개했다. 


중국에서 큐알코드기술의 연구는 199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6년 8월 3일, 중국결제청산협회는 결제기관에 《큐알코드결제업무규범(条码支付业务规范)을 하달했으며 큐알코드결제업무를 진행할 때의 안전기준을 명확하게 지적하였다.


2017년 12월 25일, 중국인민은행은 《큐알코드결제 업무규범(시행)을 발표했으며 2018년 4월 1일부터 실시하였다. 이는 2014년에 큐알코드 결제를 중단하고 처음 공식으로 인정한 것이며 이로써 큐알코드 결제가 차츰 중국내에서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1719200178222.png

 

최근, 온라인에서 전세계적으로 하루에 100억 개를 사용하며 곧 모두 써버리게 된다는 설에 대해 전문가는 "큐알코드의 소모량은 아직 정확한 통계가 없다. 하루에 백억 개를 사용한다고 해도 큐알코드의 구진조합(矩阵组合)이 얼마인지를 추정해야 큐알코드가 인류들에게 모두 써버리는 여부를 알 수 있다"며 해석하였다.


이론적으로 고정 구역에서 배열조합의 흑백 블록의 변화는 유한하며 저장한 데이터가 용량제한을 초과하면 큐알코드가 모두 써버리게 된다. 하지만 실제 사용중에서 큐알코드의 용량은 엄청 크기 때문에 통상 사용하는 저장의 데이터보다 훨씬 많다.


위챗 큐알코드를 예를 들면, 큐알코드 구진중에 25*25 즉 625개의 작은 블록이 있으며 일부 위치, 잘못을 찾는(纠错) 등 기능성 블록을 제외하고도 478개 블록이 있고 매개 블록에 흑백 2가지 칼라가 있기에 478*2개의 큐알코드를 조합할 수 있다.


전세계에서 하루에 사용하는 큐알코드가 100억 개라면 일년에 36500억개를 사용하는데 모든 큐알코드를 사용하는데 2.14×10¹³¹年 필요하다. 때문에 큐알코드가 곧 모두 써버리게 된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새로운 고민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전문가는 "이론적으로 큐알코드 자체는 바이러스가 없지만 많은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큐알코드를 이용해 다운할 수 있다. 큐알코드기술은 이미 핸드폰 바이러스, 피싱사이트 전파의 새로운 경로가 되었다"며 주의보를 주었다.


경찰은 "큐알코드를 스캔할때  프로그램을 다운하라는 알림글이 떠는데 일부 바이러스는 다운한 후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에 영향을 주고 일부는 법죄자들에게 이용돼 요금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출처가 명확하지 않는 큐알코드는 함부로 스캔해서는 안된다"며 당부했다.

 

微信图片_20200518222320.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