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터뷰] 앞선 한국기술을 중국 규모 경제에 싣어 사업성공, 거인스마트크레인 윤용기 대표윤용기 대표는 현재 중국 크레인업계 선두, 거인그룹과 공동투자 합작사인 중한스마트크레인제조유한공사(巨人中韩智能制造有限公司) 대표로 한국 무인자동화 크레인 기술을 중국 크레인 시장에 확장시키고 있는 애국 인물이다. 그는 중국지도에 1,000여개 제철소 위치에 점을 찍으며 한국 십여 개 밖에 안되는 제철소 시장과 비교, 중국 규모의 경제에 바로 감을 잡았다. 2015년 당시 한국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크레인들이 일찍이 무인자동화 크레인으로 도입된 것에 반해 중국 크레인 업계는 무인화 보급이 대중화되지 않았다. 이를 보고 한국의 기술력을 중국 크레인 업계에 장착하는 사업구상을 하게 되고 당시 <중국제조 2025>를 분석하며 사업에 확신을 갖게 되었다. 거인스마트크레인은 최근 중국경제 상황에 맞는 가장 이상적인 한중기업 합작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합작사 리더로서 어디에 가장 중점을 두고 경영하는가? ‘성장동력’, ‘다음세대(Next Generation)’ 매일 시간을 내어 이 두 단어가 사업과 조직에 어떤 역할을 하고 적용을 할 것인지 연구하고 있다. 현재 함께 하고 있는 거인그룹의 경영과 미래의 성장동력을 찾는 것이 주요 업무이며, 직원들한테도 이 두 가지를 위한 가치와 사고를 끊임없이 이끌어 내어 나만의 경영철학을 담고 있다. 이 두 단어는 내 자신을 위한 숙제이기도 하다. 거인스마트크레인은 중국시장에서 어떤 우의를 갖고 있는가? 거인 무인자동화크레인은Pilot 현장을 운영한다. 세계에서 유일하다. 각각의 고객들이 갖는 현장의 환경을 Pilot공장에서 먼저 재현하고 그 결과를 각 현장에 공급한다. 시간적인 안정과 함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시킨다. 합작사6년차를 보내며 중국사업을 잘하기 위해 특별히 힘쓴 것이 있다면? 특별히 없다. 단지 중국문화를 가장 기초로 두고 생각한다. ‘중국은 내가 생각하는 이상의 것이 보여진다’라는 마음이 항상 함께 하고 있다. 짜증날 것도 없고, 화 날일도 없다. 모든 것을 즐거운 기대감으로 받아들인다. 과거 중국 기차여행으로 단련된 그들의 중국문화와 습관의 이해가 어느덧 나의 무기가 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중국 사업도 문화로 접근해 갔을 뿐이다. 중국 친구들과 인연이 사업을 만들어줬다. 중국인 친구들과 10년, 20년지기 친구들이 많다. 함께 일하고 있는 직원도 과거 나의 제자이다. 꽌시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꽌시가 ‘안되는 것을 되게 할 수 있는 불법적인 의미’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금은 위험한 해석이다. 꽌시는 믿음의 출발이며 상생의 원천이다. 하루 최소 10분이라도 독서에 몰입한다. 하루라도 손에서 책을 놓으면 죽은 목숨과 같다는 마음으로 자기관리를 위한 노력을 하루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지금도 중국시장에 관심있는 사업자가 있다면? 한국의 앞선 기술력 아이템이 있다면 도전하라고 하고 싶다. 아이템을 가져와 좌판(플랫폼)에 깔아 놓고 팔려고만 하는 생각과 방식은 끝났다. 반드시 사업 강점을 드러내어 고객이 찾아오게 해야 한다. 고객을 찾아오게 하는게 어렵다. 그 방법이 무엇인가? 중국을 싫어하면서 중국사업에서 성공할 수 없다. 위에서 말한 팔려고만 하는 사업 마인드와 같다. 아이템의 고객을 연구하고 부가가치를 올려야 한다. 결국은 중국을 좋아하고 그들과 깊은 교감을 하면 답을 찾을 수 있다. 2% 부족함이 있어도 중국인들은 새로운 것의 시도가 아주 강하다. 그들이 부족한 2%를 난 한국 기술력에서 찾으려고 노력한다. 중국의 규모의 경제는 아직도 많은 곳에 있다. 아직도 연해지역으로 한국 사업자들이 집중되어 있는데, 중국 3, 4, 5선 도시를 뉴스나 자료에서만 보지 말고 직접 찾아 가서 부딪쳐라. 모방을 두려워하면 어느 나라에서도 사업은 힘들다. 모방을 기뻐해라, 끊임없이 혁신을 하게하는 원동력으로 사용하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거인스마트크레인 홍보영상 관람 인터뷰를 마치며 윤용기 대표가 보는 중국, 그의 사업 마인드에서 ‘희문락견(喜闻乐见)’ 기쁜 마음으로 보고, 듣고, 반기다는 사자성어가 떠올랐다. 그의 중국 사랑은 중국 지방정부가 명예시민으로 인정할 정도로 뜨겁다. 많은 기업이 중국을 떠나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렸다. 하지만 윤용기 대표는 한국기술이 앞서 있는 업종이라면 중국에는 아직도 기회가 있다고 강조한다. 윤용기 대표 오랜 제자이며 현재 함께 일을 하고 있는 형요룡 과장과 거인스마트크레인 설비 현장 견학
-
[인터뷰] 중국 마취, 진통업계 1위, 1조2천억 장애인 기업가 투런그룹 왕궈성(王国胜) 회장https://youtu.be/kwDIuoRr9w0 본 기사는 유튜브(중국 김대순TV)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올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는 투런메디컬그룹 창업자 왕궈성 회장의 첫 인상은 외유내강이다. 일반인과 다른 신체조건으로 중국 의료기기 소모품분야의 선두자리에 오르기까지 그가 겪은 30년의 여정은 중국 경제 발전시기와 맞물려 투자와 변화, 매 순간의 탁월한 선택의 결과이다. 왕회장은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학진학을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하여 대학교 합격통지서를 받는다. 하지만 당시 중국은 신체 장애가 있으면 대학입학을 할 수가 없었다. 하는 수 없이 가업인 동물병원을 운영하나 변변치 않아 돈을 빌려 치료기 사업, 양돈사업을 하지만 모두 실패한다. 낙담은 잠시 하남성 본거지를 벗어나 전국각지를 다니며 견문을 넓히다가 시작한 일이 대걸레, 빗자루 청소도구를 팔게 된다. 후에 이 일은 병원과 연결되고 각종 병원납품 위생도구를 판매하게 되면서 점차 의료기기 소모품 사업에 확신을 갖는다. 왕회장은 광동성 불산제1병원에 자체 개발한 신체기관 삽관형 브러쉬 제작을 성공적으로 납품하면서 본격적으로 중국 전역에 투런메디컬 브랜드를 알리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투런메디컬그룹은 현재 5개 생산기지, 1만명 직원(장애인 500여명), 60억 위안(한화 약 1조2천억)의 수익을 달성하고 있다. 주요 분야는 크게 의료기기 소모품, 기업분야(원자재 1차 반제품), 소비자 분야(항균처리 생황용품)로 나뉜다. 투런메디컬의 모든 제폼은 70여개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다음은 왕궈성 회장과 일문일답. 투런메디컬 제품중 가장 핵심적인 제품은? 중국 전역에서 마취제품으로는 단연 1위다. 이외 호흡기와 진통제품이 꾸준한 신뢰를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국공업정보화부(공신부)에서 마취, 호흡, 진통 시스템 제조분야에서 1등을 차지했다. 한국도 수출하고 있는데, 한국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우리는 한국시장 만을 위한 맞춤서비스와 품질을 통해 브랜드인지도를 높여갔다. 70여개 수출국 중 매출 1위가 한국이다. 한국은 선진국으로 의료기기 분야도 매우 발달되어 의료기기 소모품 소비잠재력도 크다. 매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국제의료기기 전시회를 참석한다. 관련 의사진들을 투런메디컬에 초대하여 신뢰를돈독하고 있다. 한국은 두 번 다녀 왔는데 폭탄주가 인상깊다. 30년 동안 왕회장을 쉬지 않고 여기까지 오게 한 원동력은 무엇인가? 특별한 자기관리가 있는가? 나의 일상은 매우 심플하다. 매일 6시기상, 1시간 런닝머신, 조식후 위챗 및 컴퓨터로 업무점검후 하루를 시작한다. ‘累并快乐着(Tired and happy)’ 매일 성취감을 느끼며 동시에스트레스를 받기도 하지만 스트레스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조절한다. 나의 모든 에너지를 일에 쏟으며 행복감을 얻는 것이 이제는 일상이 되었다. 때로는 외롭다고 느끼지만 이 또한 내가 즐기는 것이다. 지금 당장 소망이 있다면? 내가 죽기 전에 회사가 먼저 죽지 않기를 바란다. 내 인생의 모든 열정이 들어간 이 회사가 오랫동안 성장해서 중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기업은 자식과 같다. 중국 최대규모 의료기기 박물관을 건립한 목적은? 의료분야의 기업인으로서 후대에 중국의의료기기 발전사를 기록화 하여 역사적으로 계승하고 싶었다. 회사는 사라져도 박물관은 영원히 남을 것이라 믿는다. 장애를 극복한 성공한 기업가로서 예비창업자 또는 장애가 있는 젊은이를 위한 조언 한마디 난 실패의 연속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의지를 꺽지 않았다. 아주 작은 시험관 브러쉬 아이템 하나가 공장을설립하게 만들었고 지금의 투런메디컬을 있게 했다. 어떤 사업이던 자신의 능력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때 기회는 반드시 온다. 쉽게 포기하지 말라. 이 세상 모든 장애인들도 하늘을 떠받치고 땅 위에 우뚝 설 수 있다.(顶天立地) 큰 포부를 갖고 사회에 가치를 창조하는 일에 시간을 투자하길 바란다. ▲1965년생, 河南长垣(허난창웬)
-
선전 GBC 법률/세무·회계/마케팅·현지투자 상시자문 서비스 지원 안내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는 중국진출(희망)기업대상법률, 세무·회계, 현지투자·마케팅 분야 전문가를 활용, 상시자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문이 필요한 기업에서는 지원내용을 참고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지원내용 - 1. 자문분야 및 전문가 상기 내용 외에는 전문가와 자문 가능여부 문의 후 진행 2. 지원기준 기본적인 자문내용을 기준으로 지원, 상세 컨설팅 또는 실제 업무대행 등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별도 협의 후 추진 *기본 자문 이외 심층 상담은 신청기업이 별도 부담 3. 지원절차 - 신청 및 문의 - 신청방법 ▶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작성 후 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 담당자에게 이메일 송부 (이메일: zxyhanguo@naver.com) * [첨부] 2023년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참조 ▶ 중진공 담당자가 내용 확인 후 분야별 전문가에게 신청내용 전달 및 개별자문 진행 [첨부] 2023년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2023年韩国企业咨询支援申请表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송부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문의처 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 장효영 (0755-2382-5190 , 137-7208-2789 이메일: zxyhanguo@naver.com)
-
[중진공] 선전 GBC 법률/세무·회계/마케팅·현지투자 상시자문 서비스 지원 안내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는 중국진출(희망)기업대상법률, 세무·회계, 현지투자·마케팅 분야 전문가를 활용, 상시자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문이 필요한 기업에서는 지원내용을 참고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지원내용 - 1. 자문분야 및 전문가 상기 내용 외에는 전문가와 자문 가능여부 문의 후 진행 2. 지원기준 기본적인 자문내용을 기준으로 지원, 상세 컨설팅 또는 실제 업무대행 등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별도 협의 후 추진 *기본 자문 이외 심층 상담은 신청기업이 별도 부담 3. 지원절차 - 신청 및 문의 - 신청방법 ▶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작성 후 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 담당자에게 이메일 송부 (이메일: zxyhanguo@naver.com) * [첨부] 2023년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참조 ▶ 중진공 담당자가 내용 확인 후 분야별 전문가에게 신청내용 전달 및 개별자문 진행 [첨부] 2023년 상시자문 지원신청서 2023年韩国企业咨询支援申请表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송부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문의처 중진공 선전 GBC(Global Business Center) 장효영 (0755-2382-5190 , 137-7208-2789 이메일: zxyhanguo@naver.com)
-
선전 푸텐구에 일맛나는 사무실!? 중진공-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신청 안내수출BI 선전 중국 독립실 10실 / 공유오피스 6석 선전 수출인큐베이터는 '22.6월 중국 광동성 선전을 중심으로 화남지역(광동, 푸젠, 광시, 하이난)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판로 개척 및 중국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중국 제1의 경제특구이자 경제‧과학도시인 광동성 선전시 푸텐구 중심에 설립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선전대표처)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김성수 소장 전화: +86-(0)755-2382-5190 또는 070-8018-2687 이메일: samkim@kosmes.or.kr 주소: 深圳市福田区金田路2026号 能源大厦 北塔 1401室(518026) POINT 01 입주면적/주요시설 총면적: 721.70㎡ 입주업체 사무실: ①2~5인실 10실(업체당 평균전용면적: 11.84㎡) ②사무실 구성 2인실 6실, 4~5인실 4실 Type평균면적(전용) 2인실 9.00㎡, 4~5인실 16.10㎡ 공유오피스(6석 규모): 1실, 지정석 2석, 비지정석 1석 회의실: 대회의실(20석 규모) 1실, 소회의실(4석 규모) 1실 기타: 전시공간(샘플, 제품, 카탈로그 등), 휴게실, 공용 사무기기(프린터, 팩스 등) POINT 02 입지여건 중국 최대의 ICT 산업 클러스터 지역 2016~2020년 선전의 GDP는 연평균 7.1% 성장하며, 중국의 목표치인 6.5%를 상회하였으며, GDP의 4.93%를 R&D에 투자해 선진국에 못지않은 수준으로 산업의 시초를 닦는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산업의 스마트화 추진 2022년 선전시의 GDP는 32387억6800만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3.3% 증가하여, 세계 10위(서울을 추월)를 차지 선전은 텐센트(腾讯), DJI(大疆), 화웨이(华为), BYD(比亚迪) 등 IT, 드론, 모바일 부품 및 장비, 전기차 및 배터리 분야 민영기업 본사가 소재한 지역이며, 최근 5개년간 포춘에서 발표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선전 소재 기업이 4개 → 8개로 증가하는 등 혁신 민영기업의 성지이자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월마트, 폭스바겐, 삼성전자, LG전자 등 200개사가 투자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통합 및 새로운 도약 추진 중국 정부는 광동성 9개 도시(광저우, 선전, 포산, 동관, 후이저우, 주하이, 중산, 장먼, 자오칭) 및 홍콩‧마카오를 단일 경제‧생활권으로 통합하여 GDP 1조 5천억 달러(한국수준), 인구 6,700만명의 거대 경제 허브 조성하는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선전은 적극적인 대외개방과 협력을 통해 향후 5년 내 세계 최대 만구경제권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2021년 선전 GDP는 3조 700억 위안으로 2020년 2조 7,700억 위안 대비 10.8% 성장하였으며, 상하이, 베이징에 이어 중국 내 3위, 아시아 내 5위 수준 * 2019년부터 선전이 광동성 성도인 광저우 추월 중국의 가장 젊은 도시이자 소비 도시 2022년 선전의 취업인구는 1,249만명에 이르며, 15~59세 인구 비중이 선전시 전체의 79.6%를 차지, 35세 이하 청년 비중이 69.0%에 달하는 등 평균 연령이 33세로 중국 내 젊은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외국기업 종사자, 고학력자, 창업자 등 소득 수준 및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가 많아 소비지출이 높은 도시 POINT 03 진출유망 사업분야 4대 주요산업 - 문화 크리에이티브, 하이테크, 물류업, 금융업 전략신흥산업- 차세대 IT 기술, 첨단장비제조, 친환경 저탄소, 디지털경제 등 미래산업- 생명공학, 항공우주, AI,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장비 POINT 04 입주부담금 수출인큐베이터 입주보증금: 500만원(퇴소시 반환) 월 임차료(1년차 기준): 평균 270천원 내외(호실별 면적으로 산정) 실비부담: 전기료, 회선사용료 등. 업체당 월 50천원 내외 공유오피스: 무료 POINT 05 찾아오시는 길 선전 바오안(宝安) 공항 → 선전 수출인큐베이터(能源大厦) 택시: 공항 15번 출구로 나와 인터넷예약 택시 승차장에서 탑승 후 약 40분(36㎞) 소요,택시비는 평균 100위안 지하철: 공항역에서 11호선 탑승 후 처공먀오(车公庙)역에서 1호선 환승 후 회이잔중신 (会展中心)역에서 하차, D출구로 나와 도보로 약 11분(800m) 소요, 총 60분 소요 (지하철 요금 7위안) 공항버스: NA1 푸텐 밤 노선 이용 가능하나 새벽에만 운영(운영시간은 22:30~05:00, 배차간격 : 30분)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신청방법 ☞ 신청자격 해외시장 개척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으로 입주지원 제외 대상 업종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외 ☞ 입주지원 제외 대상 업종 보기 ☞ 신청서류 <필수서류> ①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② 파견자 이력서(온라인 신청서 상에 첨부한 이력서 출력하여 날인 또는 싸인) 1부 ③ 파견자 재직증명서 1부 ④ 파견자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www.ei.go.kr) 출력분 – 현지 채용인력의 경우 제외 ⑤ 최근 3개년도 재무제표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출력분) * 외감법인의 경우 외부감사보고서도 추가 제출 ⑥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신청 직전 월, 전년도 동월 각 1부) <기타서류>(해당업체에 한함) ① 수출실적증명원 (최근 3개년도 및 현재 수출실적증명원) - 무역협회 또는 은행 확인본 제출요망 (이외 외화획득용물품구매확인서 제출 가능) - 수출인큐베이터 신청지역이 속한 나라에 대한 수출실적을 수출실적증명원에 별도 표기 되도록 발급 요망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신청 시 중국 수출실적 별도 표기) ② 기업부설연구소 운영 증빙서류 1부 ③ 국문 및 외국어 제품카탈로그, 회사 소개자료 각 1부 ④ 국제규격(ISO, UL, CE 등) 및 산업재산권(특허 등), 정부(유관)기관 수상내역 사본 각 1부 ⑤ 수출유망중소기업, INNO BIZ, 벤처기업 선정서 각 1부 ⑥ 대표자 이력서 1부 ⑦ 기타 회사 홍보자료 각 1부 ⑧ 최근 3개월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자본금이 중소기업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한함) 각 1부 ※ 입주타당성 평가를 위해 평가자가 상기 이외의 서류를 요청할 수도 ☞ 입주기업 신청절차 1. 신청 및 접수: 온라인 신청(글로벌 사업처) 2. 입주타당성 평가: 서류심사, 재무평가, 기업현장 실태조사 3. 현지 시장성 평가: 현지 수출인큐베이터 의견참조 4. 입주기업 선정: 심의위원회/결과통보 ☞ 신청방법 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기업회원 가입 및 로그인 2. 수출인큐베이터 온라인 신청페이지에서 하단에 있는 온라인 입주 신청하기클릭 후 정보입력 및 서류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