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 JOIN 뉴스목록
-
텐센트(腾讯) 부동산 시장 진출?! 관계자: 공업단지 프로젝트 필요였다최근, 텐센트과학기술(腾讯科技)심천유한회사는 경영항목에 신규 부동산 개발경영(房地产开发经营)과 비거주부동산임대(非居住房地产租赁) 항목도 경영범위에 보충하였다. 텐센트가 부동산에 진출하려는 것일까? 텐센트 내부 관계자는 ‘텐센트에서 부동산 개발 및 임대 경영범위를 신청한 것은 일반 의미상의 부동산업무가 아니라 건설 중인 따찬완프로젝트(大铲湾项目)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업무수요을 만족하기 위해서다’며 전했다. 따찬완프로젝트는 텐센트가 자체 사용 산업단지를 핵심으로 동시에 사무실, 부동산 관리(物业), 회의중심, 상업 등 공공 부대시설을 설립하며 이와 같은 부속시설(附属设施)의 개발과 운영은 대외경영과 관계되기 때문에 법규에 따라 관련 자질을 보충해야 했다. 앞으로 텐센트 따찬완산업단지는 심천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공업단지이다. 텐센트본부도 따찬완에 옮겨 심천 ‘인터넷+’미래과학기술성(未来科技城) 건설하고 있다.
-
테마파크가 100여개 넘는 중국, 각 지역에서 디즈니를 “쟁탈”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최근 칭다오시 문화와 여행국 당서기, 국장 판펑(潘峰)은 '민생온라인'(民生在线)에서 디즈니랜드가 칭다오에 세워진다는 소식에 대해 디즈니랜드회사와 여러 차례 연락을 취했다며 답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디즈니랜드측은 칭다오에 랜드가 세울 계획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외에 우한, 천진, 청두 등 도시도 디즈니와 관련 소식이 나왔었다. 중국에 세 번째 디즈니랜드가생길까? 중국테마파크연구원 원장 임환걸(林焕杰)은 인터뷰에서 디즈니의 “명성”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행객 입장에서 보면 “디즈니”는 세계에서 가장 큰 테마파크 브랜드이고 도시 발전 측면에서 봤을 때 디즈니랜드가 생기면 현지의 경제, 오락, 교통, 음식, 호텔 등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임환걸은 “디즈니의 이념은 제품이 소중하고 희소성이 있어야 오래동안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디즈니랜드는 국가 및 지역별 여행객수와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정도 및 경쟁 상황을 고려한다'며 소개했다. 현재 디즈니랜드는 미국 캘리포니아, 플로리다주, 일본 도쿄, 프랑스 파리,중국 홍콩과 상해에 위치해 있으며 2016년도에 오픈한 상해 디즈니랜드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나이가 젊은 디즈니테마파크이다. 그러므로 임환걸은 '디즈니가 중국에서 세번째 디즈니랜드를 오픈한 가능성이 높지 않다. 만약 새로 오픈하게 되면 자신과 경쟁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며 지적하였다. 디즈니랜드가 인기 많은 이유는? 국제테마엔터테인먼트협회 TEA(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공동인프라컨설팅기업 AECOM이 발간한 최신 보고서 “2021 글로벌 테마파크 및 박물관 보고서”(2021 Theme Index and Museum Index)에 따르면 2021년 세계 랭킹 25 위 안에 든 테마파크 중 상위 10 위 안에 5 위인 일본 유니버설 스튜디오(日本环球影城)와 8위인 장롱해양왕국(长隆海洋王国)을 제외하면 8개가 “디즈니 아이템”이다. 미국 플로리다주의 디즈니매직킹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해양공원이 4위를 차지했다. 방문객 수를 보면 미국 플로리다주의 디즈니매직킹덤은 2021년 연간 1269.1만명,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에는 2096.3만명으로 전 세계 다른 테마파크를 압도했다. 중국에 대형 테마파크가 부족한가? “2021 글로벌 테마파크 및 박물관 보고서”에 따르면 장롱해양왕국은 10위인 상하이 디즈니랜드보다 높은 8위를 차지했다. 장롱해양왕국의 2019년 방문객은 1173.6만명으로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1121.1만명을 넘어섰다. 또한 베이징 환러구(北京欢乐谷)와 광저우장롱환러월드(广州长隆欢乐世界)도 각각 24위와 25위를 차지했다. 미래 세계 테마파크의 주전장은 중국이다 디즈니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등 세계적인 테마파크가 들어선 것도 국내 테마파크의 발전을 이끌었다. 프로젝트 협상부터 개장까지 16 년이 걸린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의 개장 경험을 확인할 수 있다. 훌륭한 대형 테마파크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시장에 접근해야 한다는게 임교수의 지적이다. 디즈니의 테마파크 계획은 보다 인간적이고 상업적이며 합리적이다. 최근 몇년 중국의 테마 파크도 특별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그중 화챵팡터(华强方特)는 현재 국내에서 비교적 성공적인 사례이다.
-
위챗 모멘트에 금지품 판매광고 함부로 올려서는 안돼"위챗 안전센터"는 위챗 개인계정의 금지품 판매정보 발표에 관한관리공고를 발표했다. 위챗은 안전하고 건강한 친환경적인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위챗팀은 위챗 개인계정을 이용하여 특정상품판매정보(예를 들어 담배, 전자담배 등)를 발표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금지품판매정보(예를 들면 최음약, 불법 보건품 등)를 발표하는 행위를 포함한 금지품 판매정보 발표행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였다. 이와 같은 위법 행위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기 등 악의적인 행위를 쉽게 파생시킬 수 있다. 위챗 개인계정의 정보발표행위를 규범화하고 위챗 사용자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위챗 개인계정은 어떠한 형식으로도 각종 "금지품" 판매 정보를 발표, 전시, 전파하는 경우 위챗팀은 국가 관련 법률과 규정에 따라 단속할 것이며 그외에 "텐센트 위챗 소프트웨어 허가 및 서비스 계약", “위챗개인계정사용규범"에서 규정한 정도에 따라 처리할 것이다. 초기 또는 일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 또는 기능 제재가 적용된다. 여러 차례 또는 심각하게 법규를 위반했을 경우 관련 계정에 대해 제한 처벌이 뒷따른다. 2023 년 1 월부터 현재까지 사용자의 신고 증거를 확인한 결과 “금지품”판매 정보를 게시한 위챗계정 7,236개, 위챗 그룹채팅 1,871개에 대해기능 사용 제한이나 로그인 제한 등 처벌을 내렸다. 공민이 인터넷에서 불법 금지품을 판매하는 행위는 “형법”, “치안관리처벌법” 등 관련 법규를 위반한 행위에 속한다. 사용자가 개인계정, 그룹, 모멘트 등 기능을 통해 불법 금지품 판매정보를 올리는 것 역시 위법 행위에 속한다. 친구를 도와 모멘트, 위챗그룹에 불법 금지품을 전달하여 홍보하고 판매하는 행위는 양자가 모두 법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된다. 위챗을 사용할 때 주동적으로 금지품 및 특정 상품의 판매범위에 대한 국가의 법률규정을 따르고 관련 법률법규 및 플랫폼규범을 위반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담배판매허가증관리방법"규정에 근거하여 정보네트워크를 통하여 불법으로 담배를 판매해서는 안되며 감독관리부문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으면 규정을 위반하고 약품 또는 의료기기의 홍보 내용을 발표해서는 안된다. 위챗팀은 위법 및 규정 위반 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플랫폼 관리를 전개하는 동시에 법에 따라 관련 부서에 협조하여 공동 단속할 것이다. 만약 위챗을 사용하면서 위법 행위를 발견하면 즉시 클라이언트(客户端) 또는 텐센트 가디언즈애플릿(腾讯卫士小程序)을 통해 신고할 수 있다.
-
적극적으로 인민폐 국제 영향력 개척해야올해 들어 인민폐의 국제준비통화, 지불통화 등 기능이 강화되면서 중국과의 통화 관련 조치를 적극 추진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중국 경제의 성장과 대외 개방 수준의 향상과 함께 인민폐의 국경 간 결제, 투자 금융, 비축(储备) 및 가격 책정 등 국제 통화 기능이 전면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인민폐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현재 준비통화 기능에 대해 IMF가 발표한 공식 외환보유 통화 구성(COFER) 데이터에 따르면 2022 년 4 분기까지 전 세계 외환보유에서 인민폐가 차지한 비중은 약 2.7% 였고 주요 기축통화 중 5위를 차지한다. 2022 년 5 월 IMF는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가중치를 10.92%에서 12.28%로 조정해 인민폐의 자유로운 사용 확대에 대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지불 통화 기능면에서 국제은행통신협회(SWIFT) 데이터를 따르면 2023 년 2 월 위안화의 국제 지불 점유율은 약 2.19% 로 세계 5위 지불통화로 되었다. 투자 및 자금 조달 통화 기능면에서 “2022 년 인민폐 국제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1 년 말까지 해외 주체가 중국내 인민폐 주식· 채권· 대출· 예금 등 금융자산은 10 .83만 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했다. 중국 경외 인민폐 시장은 점차 회복되어 거래가 더욱 활발해졌다. 2021 년 말까지 주요 해외 시장 위안화 예금은 1.5만 억위안에 가깝다. 한편, 중국인민은행은 2021년 말 현재 40개 국가 및 지역의 중앙은행 또는 통화당국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으며, 총 금액은 4만억 위안, 유효금액은 3.54만억 위안에 달한다. 현재 중국은 인민폐의 국제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인민폐의 국제화를 부단히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제2대 경제체이자 제1대 화물무역국으로서 현재와 미래에 인민폐의 국제화에 넓은 발전 공간을 주었다. 중국은 현재 인민폐 국제화를 실현하는 유리한 환경을 넓히고, 국제통화시스템의 탈달러화 추세의 유리한 시기를 잡아 “일대일로”가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양호한 분위기를 만들며 인민폐가 더 많은 국가로 진입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IMBA, 재중국 지원자 Zoom 설명회 개최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IMBA가 북경, 상해, 심천 온오프라인 설명회를 성황리 마치고, 오는 5/16(화) 중국시간 오후 6시 ZOOM 입학설명회를 개최한다. 해외에서 주재 근무기간 온라인 대학원 공부와 석사학위를 취득함은 물론 인적 네트워크를 해외 및 국내로 확대할 수 있어 성균관대학교 IMBA는 일찍이 해외근무 주재원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신청하기: https://events.skku-imba.net/enter2023/index.html IMBA 원서접수시작: 5/2(화) ~ 6/2(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