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황푸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에 참여한 몇 분을 소개하겠습니다. 조선공산당은 일제 강점기 혁명을 통해 부르주아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하려는 한 정당입니다.
예전에는 일제 강점기 한국 사회주의는 민족주의와 대립하는 운동으로 보았습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 학계에서 일제강점기 식민지 특수성으로 인해 한인 사회주의자들은 국제적인 사회주의운동에 앞서 민족문제 해결을 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민족해방을 위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많은 분이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기 전, 이미 독립운동에 종사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민족해방에 대한 열정이 그들이 사회주의 혁명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정부는 늦었지만, 공산주의도 독립운동의 한 분파에서 출발했다고 인정하고 사회주의자를 독립유공자로 지정했습니다.
황푸군관학교 4~6기 학생 중 진보 청년들은 주로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해 활동합니다. 1925년 4월 조선공산당이 조직될 때 조선공산당 성원들은 대부분 학생과 지식인이었습니다. 1928년 코민테른은 조선공산당에 지식인이 많고 노동자나 농민이 적으며 대중과 연대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해산시켰습니다. 조선공산당이 직면한 과제는 공장이나 농촌, 학교 등지에서 대중을 모아 조선공산당을 재건하는 일이었습니다. 황푸군관학교를 졸업한 진보 청년들은 어떻게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해 활동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김호원 : 강계군 조선일보 지국 기자
김호원(金浩元, 1905~?)은 황푸군교 5기 보병과 소속이며 연락처는 펑톈성(奉天省) 통화현(通化县) 강산(岗山) 산다오거우(三道沟) 다취엔옌동(大泉眼東)입니다. 본적은 한국이라고만 기록되었습니다.
황푸군교 5기생은 1927년 8월 졸업했습니다. 김호원은 평안북도 강계에서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1928년 코민테른이 조선공산당을 해체한 직후인지라 조선공산당원들이 노동자, 농민, 학생 대중을 중심으로 조선공산당을 선전할 때입니다.
코민테른 한국위원회가 5월 노동절을 앞두고 메이데이의 의의를 일반 노동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대대적인 투쟁을 전개하며 격문을 살포했습니다. 1929년 3월, ‘조선 학생 청년 대중아 궐기하라’, ‘검거된 광주의 조선 학생을 즉시 탈환하라’, ‘식민지 노예교육에 반대한다.’ ‘무산계급은 전면 투쟁을 개시하라’는 등 등사판에 찍은 전단과 유인물이 길거리나 영화관, 전신주에 나붙었습니다.
전단과 유인물은 경성 시내는 물론이고 전 조선 각지에도 발송되었습니다. 일본경찰은 광화문우편국과 경성우편국에서는 지방으로 발송하려는 격문 8천 장을 압수했습니다. 전국 경찰에 비상이 걸리고 1,500여 명이 검거되었습니다.
1929년 11월, 김호원은 강계군 조선일보 지국 기자로 재직하면서 조선 적화운동을 전개하다가 검거되었네요. 죄명은 치안유지법 위반입니다. 강계군 당지의 농민사, 신간회, 청년동맹과 협력하면서 공산주의를 선전하기 위해 불온 문서를 배포한 것이 드러났습니다.
일본 경찰은 300여 명을 체포하고 강계공산당이 벽지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전 조선을 적화하려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김호원을 비롯한 4명은 송치되고 나머지는 석방되었습니다.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참고문헌 및 자료] 湖南省档案馆校编, 『黄埔军校同学录』,湖南人民出版社,1989년 7월.「六種檄文(육종격문)을 印刷(인쇄) 全朝鮮各地(전조선각지)에 配付(배부) 」『동아일보』호외, 1929년12월 28일. 「벽지부터 점진적으로 전조선 적화기도 」, 『중외일보』, 1929년 11월 12일. 「南滿靑總中心(남만청총중심)으로 三百餘名網羅活動(삼백여명망라활동)」, 『조선일보』, 1929년11월 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