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이른바 '틱톡(TikTok) 난민'을 자처한 미국 네티즌이 대거 유입된 중국판 인스타그램 레드노트(Rednote·중국명 샤오훙수)가 중국 내에서 연일 화제다.
중국 네티즌들은 갑자기 폭증한 외국인들의 얼굴과 영어에 유머러스하게 반응하며 국경을 넘어 친교를 맺는 분위기다.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의 정권 교체기에 미중 대립이 격화하는 가운데 양국 네티즌 간 언어 장벽을 극복한 문화 연결의 장이 펼쳐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는 19일로 예정된 '미국 내 틱톡 금지'에서 대안을 찾아 나선 '틱톡 난민'들은 미국 내 앱스토어에서 레드노트의 다운로드 수 1위를 만든 데 이어 이틀간 70만명 신규 가입이라는 기록을 썼다. 신규 가입자 수는 레드노트의 공식 발표는 아니지만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레드노트가 미국 내 1억7천만명의 사용자를 둔 틱톡을 당장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급격히 늘어난 레드노트의 틱톡 난민들은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고양이 세금'이라는 신조어다.
기존 중국 사용자들은 신규 가입자에게 가입 후 첫 글을 올리려면 귀여운 고양이 사진이나 영상을 첨부하라고 요구했다. 이를 유머러스하게 '세금'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양국 네티즌은 중국어와 영어라는 언어 장벽에 좌절하기보다 챗GPT 등을 활용한 기계적 번역어에서 나온 농담, 무료 영어 숙제 과외, 중국어 이름 짓기 등을 통해 자유롭게 교류하고 있다.
중국 지방 관광당국들도 영어로 소개된 각지 홍보 영상을 올리면서 '틱톡 난민 환영' 대열에 합류했다.
'아침에는 C, 저녁에는 A'라는 유행어도 재정의됐다.
이 문구는 원래 중국인들 사이에서 '아침에는 비타민C, 저녁에는 비타민 A가 든 화장품을 사용하자'는 뜻으로 퍼진 말이었지만, 이제는 양국 간 시차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뜻하게 됐다.
아침에는 중국인(차이니즈·Chinese), 저녁에는 미국인(아메리칸·American)이 레드노트의 게시물을 점유한다는 뜻이다. (출처_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