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세계 최대' 中상하이모터쇼 개막…관세전쟁 속 신차 100대 위용세계 최대 규모 자동차 전시회로 꼽히는 상하이모터쇼(오토상하이)가 23일 개막했다. 미중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은 자국 브랜드는 물론 해외 업체를 대거 불러들여 기술력과 신차를 공격적으로 공개하는 등 '자동차 굴기'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상하이모터쇼는 이날 언론 공개 행사를 시작으로 내달 2일까지 상하이 국가전시컨벤션센터(NECC) 내 36만㎡ 규모 전시장에서 열린다. 올해는 26개 국가·지역의 1천개 가까운 업체가 참여한다. 폭스바겐과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그룹, 볼보, 도요타, 혼다, 닛산 등 해외 브랜드들을 비롯해 상하이자동차(SAIC)와 창안자동차, 베이징자동차, 광저우자동차, 지리, 둥펑, 비야디(BYD) 등 중국 국내 주요 메이커가 총출동했다. 주최 측은 이번 행사가 역대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미국, 독일 등 자동차 본고장에서 개최되는 모터쇼의 위상이 해마다 하락하는 반면 중국 모터쇼는 탄탄한 내수와 급성장하는 기술력, 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 등을 토대로 세계 자동차 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특히 유럽 등 주요 자동차 시장의 경기가 악화하는 상황이라 주요 글로벌 자동차업체는 중국 시장으로 더 눈을 돌려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중국과 세계 각 브랜드가 이번 행사에서 공개할 신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전기차를 중심으로 100종이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모터쇼가 정식 개막하기 전부터 상하이에서는 각국 기업의 신차·신기술 공개 행사가 잇따랐다. 이번 모터쇼에 공식적으로 참가하지 않는 현대자동차는 전날까지 이틀에 걸쳐 상하이 시내에서 중국 시장을 겨냥한 첫 SUV 전기차 모델 '일렉시오'를 사전 공개했다. 세계 1위 배터리기업 중국 닝더스다이(CATL)도 전날 상하이에서 테크데이 행사를 열고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낙스트라'(Naxtra)와 충전 속도를 높인 '선싱'(Shenxing)의 2세대 배터리 등을 선보였다. 낙스트라는 2021년 CATL이 처음 발표한 1세대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이은 2세대 제품이며, 선싱은 주행거리가 800㎞에 이르며 5분간 충전하면 520㎞를 주행할 수 있다. 세계 1위 전기차 업체로 떠오른 BYD를 비롯해 역시 전기차 분야 공략에 총력을 기울이는 샤오미 등 다른 중국 업체들도 여러 신차와 기술력을 과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약 10만㎡ 크기의 기술·공급망 전시장에서는 보쉬나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등 글로벌 업체들과 CATL 등이 신제품을 홍보한다. 현대모비스는 300㎡ 규모 부스를 차리고 선행 제품 8종과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AR-HUD)와 사운드 데모카 등 현지 특화 신기술 2종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모터쇼에서는 완성차·부품·테크기업 수장들이 처음으로 '2025 글로벌 자동차 리더 라운드테이블'이라는 이름으로 포럼을 개최한다. 이 밖에도 10여개의 각종 부대 회의가 열린다. 베이징모터쇼와 함께 격년으로 개최되는 상하이모터쇼는 세계 최대 규모 모터쇼로 꼽힌다. 개최 초창기만 해도 중국의 거대한 자동차시장 마케팅을 위한 행사 성격이 강했지만, BYD를 필두로 한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스마트 모빌리티 역량을 축적하고 세계 시장을 주도하면서 최근 들어서는 행사 자체가 중국 업체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편, 중국 매체 펑파이는 현대·기아자동차가 2002년 중국 진출 이후 처음으로 중국 대형 모터쇼에 불참하기로 했고, FAW-폭스바겐 제타나 둥펑-닛산 베누시아, 람보르기니, 페라리 등은 차량을 전시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출처_연합뉴스)
-
中 전기차업체 니오, 최고급 세단 출시…포르쉐에 도전장중국 전기차업체 니오가 최근 자사 최고급 전기 세단 ET9을 출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르면 3월부터 출고되는 ET9 가격은 78만8천위안(약 1억5천655만원)부터 시작하며, 포르쉐의 파나메라 시리즈 또는 메르세데스-벤츠 S 시리즈에 도전하게 된다. ET9은 한 번 충전으로 650㎞를 주행할 수 있는데, 고전압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면 5분 충전으로 225㎞를 달릴 수 있다. 니오가 자체 개발한 반도체로 구동되는 지능형 주행 시스템이 탑재되며, 35개 스피커와 넓은 레그룸(앞좌석과 거리)도 갖추고 있다. 니오는 또 BMW 미니나 벤츠 스마트와 경쟁할 하위 브랜드 파이어플라이(Firefly)도 공개했다. 사전 판매 가격은 14만8천800위안(약 2천940만원)부터 시작한다. 니오는 내년 최소 판매 목표를 올해의 두 배인 44만대로 잡았다고 지난주 밝혔다.
-
글로벌 車업체 베이징모터쇼 총출동…'최대 전기차시장' 노린다중국 베이징에서 4년 만에 열리는 '2024 오토차이나'(베이징 모터쇼)에서는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을 공략하기 위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기술 향연이 펼쳐질 전망이다. 중국 최대 규모 자동차 전시회인 베이징 모터쇼는 1990년부터 2년마다 열리다 지난 2022년 코로나19로 취소돼 4년 만에 개최된다. 1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이번 베이징 모터쇼는 오는 25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베이징 국제전람센터 순이관에서 개최된다. 전시 면적은 20만㎡(6만500평)에 달한다. 아직 주최 측인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자동차산업분과 등은 구체적인 참가 기업 목록과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전 세계 모빌리티 분야 수백개 기업과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 제네시스, 현대모비스가 각각 전시관을 꾸릴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선보인 고성능 브랜드 'N'의 첫 전기차 '아이오닉5 N'과 '디 올 뉴 싼타페'를 전시한다. 기아는 중국 현지 전략모델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쏘넷'을 전시하고, 전동화 전략을 발표한다. 쏘넷은 이번 모터쇼를 계기로 중국 시장에서 론칭할 예정이다. 제네시스는 전기차와 고성능 모델을 중심으로 전시한다. G80 전동화모델 부분변경 버전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최근 선보인 제네시스의 고성능 트림 GV60 '마그마' 모델로 시선을 끌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베이징모터쇼에서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들과의 접점을 확대할 방침이다.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인 BYD(비야디)와 지리를 포함해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등 80여개 업체 관계자 470여명을 초청해 '프라이빗 부스'에서 고사양 핵심 기술 14종을 선보일 예정이다. KG모빌리티(KGM) 등 다른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이번 모터쇼에 참가하지 않는다. 자동차 업계를 제외한 한국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처음으로 베이징 모터쇼에 참가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술 등을 선보인다. 안방에서 열리는 모터쇼인 만큼 중국 자동차 관련 기업들도 총출동한다. BYD와 지리는 물론 창청(GWM)과 최근 첫 전기차를 내놓은 샤오미 등도 신차를 전시한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 중에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볼보, 폴스타, 포드, 도요타, 혼다 등 다양한 기업이 전시관을 꾸린다. 다만 테슬라는 불참한다. 벤츠는 모터쇼 개최 전날인 오는 24일 베이징 현지에서 월드 프리미어를 열어 '디 올 뉴 벤츠 G클래스 전동화' 차량과 고성능 스포츠카인 '더 뉴 AMG GT 63 S E 퍼포먼스' 등 2종의 신차를 공개할 예정이다. BMW는 프리미엄 소형차 브랜드 MINI(미니)와 함께 전기차 위주 모델을 전시하고, 볼보는 전기 소형 SUV EX30과 전기 미니밴 EM90 두 모델을 전시할 계획이다.
-
산동 웨이팡 칭저우시(潍坊青州市) 모 회사, 영업팀에 16대 BMW 장려최근, 산동 웨이팡 칭저우시 모 생물과학기술회사는 영업팀에 16대 BMW를 장려했다는 소식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1월 2일 회사에서 발표한 공식계정에서 장려 대상은 회사의 매출 침피언이며 그들은 회사를 위해 큰 공헌을 했기 때문에 회사는 훌륭한 영업 엘리트들에게 이와 같은 특수한 장려를 한다며 밝혔다. 같은 날 회사 관계자는 ‘총 16대 BMW를 구입했으며 가격은 7~800만 위안이다. BMW를 장려한 것은 영업직원들이 확실히 회사를 위해 업적과 이윤을 창출하였고 회사에서 장려한 BMW를 운전하고 업체에 가면 직원들에게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다’며 전했다. 장려를 받는 직원에게도 일정한 요구가 있는데 회사에서 근무한지 5년, 10년 이상이여야 한다. 그리고 현재는 차량에 대한 사용권만 있고 3년이 지나야 차량에 대한 소유권이 있다. 칭저우 BMW 4S 가게는 ‘상기 회사는 신정기간에 차량을 구입했다’며 밝혔다. 회사 직원도 ‘회사에서 16대 BMW을 영업팀에 장려했다’며 전했다. 누리꾼들은 ‘당신네 회사에 입사하려면 어떤 요구가 있는가? 나도 갈래’, ‘어디에 이런 사장이 있는가?’며 댓글을 남겼고 ‘차량은 도대체 회사소유인가? 아니면 개인 소유인가?’며 의문을 내놓는 사람도 있었다. 변호사 푸지엔(付建)은 ‘법률 각도에서 이런 사용권 증여는 허용되는 행위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계약서법》규정에 따라, 당사자는 자산의 사용권을 타인에서 증여한다고 약정할 수 있지만 소유권은 여전히 증여자에게 있다. 이런 장려방식은 증여 계약서에 명확하게 사용권의 기간과 조건을 규정해 쌍방의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 만약 증여가 성립되면 계약을 체결하고 증여한 재산, 기한, 조건 등 내용을 명확히 해야 한다’며 말했다. 그러면서 ‘회사로서는 이런 장려방식으로 매출을 제고할 수 있고 차량을 구입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영업팀의 실적이좋지 않을 경우, 이런 증여방식은 회사에 일정한 경제적 압력을 가져다 줄 수 있다’며 전했다.
-
[중국한인역사] 서응호 1 - 서응호가 졸업한 페이잉중학교광저우시 팡춘 바이허동(白鶴洞) 페이잉(倍英)중학교는 광저우에서 손꼽는 중점학교입니다. 1920년대, 가난해서 학비가 없었던 고학생 서응호가 미국인 교장의 특별후원으로 입학하여 3년간 공부하고 졸업한 학교입니다. 서응호의 학구열이 뜨겁기도 했지만 외국인 학생을 받아준 교장이 고맙기도 하고 페이잉학교 교정을 한번 보고 싶은 마음이 늘 있었습니다. 2013년 12월 29일, 바로 10년 전 이맘때 페이잉(倍英)중학교를 찾아갔습니다. 캠퍼스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지라 멀리서라도 교정을 한번 보겠다고 갔는데 마침 교문은 살짝 열려 있고 수위가 자리를 비웠네요. 태연자약하게 마치 학교에 볼일이라도 있는 듯 교문을 들어섰습니다. 겨울이지만 사계절이 늘 푸른 광저우, 그날은 햇살이 따스해서 마치 봄날 같은 겨울 오후였습니다. 교문을 들어가 몇 발짝 걷지 않았는데 눈앞에 동화를 보는 듯한 아기자기한 5층 종탑이 나타났습니다. 주황색 유리 기와의 팔각 원형지붕 아래 옛날 시골에서 보던 교회 종이 달려 있네요, 아래층에는 붙박이 시계와 “信(신), 望(망), 愛(애)”라는 세 글자, 연세대학교에서 익숙하게 보아 온 독수리 형상, 자그마한 미닫이 창문, 기독교적 함의가 물씬 풍기는 종탑입니다. 언제나 미지의 세계를 보고 오면 공부는 그때부터 시작됩니다. 페이잉중학교는 1866년 미국장로회에서 중국으로 파송한 나하례(Willian Dean Noyes ~1914) 목사가 설립한 학교입니다. 목사 가정에서 성장한 나하례는 중국의 태평천국이 기독교로 시작되었으나 총칼로 통치하다가 종말을 맞았다는 것을 알고 중국에 제대로 성경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1866년 30세가 된 나하례는 부인과 두 살 된 아들을 데리고 109일간 소형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 홍콩을 경유해서 광저우에 도착했습니다. 그러나 부인은 1년이 못되어 죽고 나하례마저 큰 병에 걸렸습니다. 나하례의 동생 나하리(Harriet Newell noyes ?~1924)가 인도 선교사로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가 올케가 죽고 오빠가 몹시 아프다는 소식을 듣고 오빠를 돕기 위해 광저우로 왔습니다. 나하례는 광저우에 온 지 10년이 지나서야 교회를 시작하고 1879년 광저우시 사지(사기, 沙基) 통더대가(동덕대가, 同德大街)에 안화당(安和堂)이라는 학교를 시작했다. 그리고 수년 후 1887년에 팡춘 청송원(聽松園) 부지 1만 평을 사고 안화당 학교를 이전하여 페이잉서원(培英書院)으로 개명하고 학교를 운영했습니다. 나하리는 1872년 부녀자와 여자아이 6명을 데리고 페이잉서원과 인접한 곳에 진광(眞光) 학교를 시작했습니다. 성경 구절 중에 “참 빛”.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라는 말씀을 근거로 학교 이름을 “진광(眞光)”이라고 지었습니다. 나하례의 여동생이자 나하리의 언니 마샤(Martha Noyes, 1840~1925)도 1873년에 광저우로 왔습니다. 그때 마샤는 33세 미혼이었습니다. 동생이 운영하는 진광학교를 돕고 미국 북미장로회가 설립한 박제의원(博濟醫員)에서 환자를 돌보며 복음을 전했습니다. 현재 손중산기념병원 “중산대학 제2병원”의 전신이 박제의원입니다. 박제의원을 설립한 켈(John G.Kerr) 목사의 두 번째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46세의 마샤는 켈과 결혼했습니다. 마샤는 결혼 후 진광학교 사역을 그만두고 남편과 중국 최초의 정신병원이 되는 혜애(惠愛) 병원을 팡촌에 설립했습니다. 나하례는 48년간 사역을 하고 1914년 1월, 78세의 나이로 소천했습니다. 페이잉중학교의 5층 종탑이 들려주는 나하례 목사 삼 남매가 광저우에서 실천한 “신ˑ망ˑ애” 이야기입니다. 참고자료 김현숙 지음, 『시님의 빛』, 황금종, 2011년 7월
-
[인터뷰] 심천조선민족골프협회 제6대 회장 백성욱 회장 - 골프는 나를 조선민족 사회로 이끌었다!심천조선민족골프협회 제6대 회장 백성욱 회장 ■ 고향: 길림성룡정시 I 1976년생 ■ 기업: 深圳市千丰实业有限公司 ■ 골프구력: 13년 심천조선민족골프협회 연 혁 제1기 리철호 (2007년~2011년) 제2기 김재광 (2011년~2012년) 제3기 김영일 (2012년~2013년) 제4기 박성남 (2012년~2015년) 제5기 김관걸 (2015년~2018년) 제6기 백성욱 (2019년~현재) * 현재 등록된 회원수: 220명 심천골프협회 제6대 백성욱 회장은 일본어를 배우고 1997년도에 심천에 내려와, 일본회사에 취직하여 10년 가까이 근무하다 2006년말에 개인사업을 시작하였다. 사업은 무역회사로 시작하여 지금은 제조공장, 회사 직원식당업까지 그룹형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무역회사는 철, 강재, 전기에 들어가는 원자재, 공업용 화학원료를 취급하여 해외에 수출하고 있고, 제조공장은 칼라박스 등 포장재를 생산한다. 그리고 관리하는 회사식당도 7개로 각각 내실이 탄탄한 기업들이다. 백성욱 회장이 창업을 할 때만 해도 주변에는 다 한족들이고 조선족 친구가 없었다. 그가 광동 한족들을 유심히 지켜보고 연구해서 찾아낸 아이템이 폐기물 처리와 공장식당으로 도전을 하게 되었다. 폐기물 처리업을 막상 시작해서 보니 이 업계의 텃새가 매우 세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기존에 장악한 업체들과 밥그릇을 나눠 가지려 했으니 초반에 고생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그래도 뚝심을 갖고 버티다 보니 곧 자리를 잡았다. 그가 광동성조선민족 사회에 들어오게 된 계기는 골프를 치면서 부터다. 2008년, 한국 부산에 있는 친구가 심천에 놀러 올 때마다 골프장을 갔는데 그 친구 동반을 위해 골프를 배워야 했다. 처음에는 골프에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 한 1년이 지났을 무렵, 골프 연습장에서 알게 된 친구 몇 명과 함께 필드에 나갔는데, 바로 내기를 하는 것이다. 그날 실력부진으로 실패의 쓴맛을 톡톡히 보고 돌아와서 연습장에서 살다시피 했다. 그후 골프를 좀 치기 시작했다. 2013년 BMW 골프모임에 갔다가 식사 테이블에서 우리 조선민족 분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에는 조선민족인줄 모르고 있었는데, 전화를 받는 데 조선말로 통화를 하는 것이다. 얼마나 반갑던지, 다가가 ‘나도 조선민족이다, 어디 사람이냐’고 인사를 건넸다. 당시 심천골프협회 비서장으로 조선민족 골프모임에 꼭 한 번 나오라고 초대를 했다. 그 분이 바로 지금 전국조선민족기업가골프협회 비서장이면서 하나골프협회 회장인 김관걸 회장이다. 백성욱 회장은 지금도 과거 김관걸 회장을 만나지 않았다면 지금의 조선민족 친구들도 만날 수 없었다며 김관걸 회장에게 늘 감사함이 있다고 한다. 김관걸 회장을 알면서 그 주변의 많은 형님들을 알게 되었다. 그러다 나이대가 비슷한 친구들끼리 모여서 골프를 자주 쳤는데, 친구들과 의견을 모아 동우(东友)회를 설립하고 백성욱 회장이 초대회장으로 3년간 활동했다. 동우회 회원은 대부분 70년대생으로 그 때 당시 약 60명의 회원이 있었다. 심천골프협회는 김관걸 회장이 4년 임기가 마감되면서 이철호, 이영춘 회장과 함께 백성욱 회장을 불러 “동우회를 조직했던 열정으로 심천골프협회도 맡아서 공헌 좀 해봐라”고 권하였다. 처음에는 부담이 있었는데 ‘먹고 살만큼은 되니, 이젠 조선민족 사회에 무언가 공헌 해보자’는 각오로 심천골프협회 회장직을 맡게 되었다. 현재 심천골프협회는 활발하게 운영되어 회원이 170명이다. 하지만 두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정기모임에는 평균 50~60명 정도가 출석하고 있다. 큰 모임이 있으면 출석율은 100명에 달한다. ‘홀인원은 아직 한 번도 못했지만 금방 할 것 같다’며 호탕하게 웃는 백성욱 회장은 13년의 구력을 가지고 있다. 일주일에 4, 5번은 꾸준히 필드에 나갔지만 최근은 회사일에 신경을 많이 쓰느라 예전만큼은 못하고 있다. 그래도 13년 동안 한 번도 골프를 끊은 적은 없다. 그는 골프 칠 때 거리보다 기술적인 면, 멀리 치기보다 정확성을 중요시 한다. 평소 한 시간반 정도 어프로치를 연습하며 연습장에 가서도 어떻게 하면 실수 없이 곧게 칠까를 많이 연구한다. 그 덕분에 아이언샷이 가장 자신이 있다. 현재 평균 스코어는 80대를 유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백성욱 회장은 타이거우즈, 리하오퉁 선수를 좋아한다. 리하오퉁 선수가 어릴 때부터 골프를 쳤다며 프로선수가 목표는 아니지만 15살 딸에게도 4년전 부터 골프를 시키고 있다. 그가 정의하는 골프는‘인연’이다. 골프를 치면서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고, 특히 조선민족 사회에 들어 오게 된 것을 골프의 가장 큰 보람으로 생각하고 있다.
-
상하이 모터쇼(上海车展)에서 BMW MINI직원이 중국인과 외국인을 차별대우?!최근,누리꾼은 '상하이 모터쇼 BMW MINI부스에서 직원은 아이스크림이 없다며 중국인 방문객에게 아이스크림을 제공하지 않았다. 반면 해외 방문객은 아이스크림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현장 직원은 먹는 방법까지 친절하게 알려주었다’며 반영하였다. 현장 방문객이 직원들의 행위에 대해 이의가 있자 남성 직원은 아이스크림 보온박스를 가져갔으며 현장 영상이 온라인에서 퍼지면서 많은 누리꾼들의 불만을 자아냈다. 사건 발생후 MINI중국은 웨이보를 통해 사과문을 올렸다. MINI에서 준비한 '상하이 모터쇼현장선물(甜宠)’행사는 전시장을 구경하는 어른과 아이들에게 달콤함을 선사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내부 관리 착오와 직원들의 실수로 여러분들의 불만을 자아낸 점에 대해 사과하며 앞으로 관리를 개선하고 내부교육을 강화할 것이다며 밝혔다. 사건 연루 아이스크림 브랜드 Luneurs는 ‘Luneurs에 관한 영상, 여론과 보도를 보고 많이 유감스러웠고 제1시간에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Luneurs브랜드는 상하이 모터쇼 기간 BMW MINI브랜드 활동의 현장 운영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단지 아이스크림제품을 공급한 업체이다. 영상속 두 직원과 구제적인 서비스는 Luneurs회사측에서 책임진 것이 아니며 Luneurs브랜드와 상관없다’며 해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