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목록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 장군(8) 피난 온 임시정부 일행을 맞이한 채원개백범 일지에 김구 선생이 쓴 이런 글이 있습니다. “대가족 일행보다 하루를 먼저 떠나 광주에 도착한 후 이전부터 중국군 계통에 복직하던 이준식, 채원개 양인의 주선으로 동산(東山)의 백원(柏園)은 임시정부 청사로, 아세아여관은 전부 대가족을 수용케 되었으니” 임시정부 청사로 사용하던 동산백원은 현재의 쉬구웬로 12번지입니다. 임시정부 일행이 광저우에 도착한 날자에 대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제시의 일기』에 의하면 1938년 7월 17일 입니다. 김구선생은 7월 16일 광저우에 도착했고요. 동산백원에 머문 시간은 두 달입니다. 임시정부 요원과 가족들은 창사에서 후난성 주석 장즈중(장치중, 1890~1969)이 마련해준 열차를 타고 3일 만에 광저우 황사(黃沙) 기차역에 내렸습니다. 김구 선생의 아들 김신(金信, 1922~2016)은 『조국의 하늘을 날다』라는 책에 이렇게 썼습니다. “광저우에 도착하니 당시 중국군이던 채원개 선생이 자동차를 몰고 마중을 나왔다. 평남 영원 출신인 채원개 선생은 나중에 광복군에 활동했고 해방후에는 국군 사단장을 지냈다. 선생은 할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나를 태우고 아세아여관으로 갔다. ” 채원개는 고향 평안남도 영월군(宁远郡)에서 안식일 교회 선교사들이 설립한 의명소학교에 다녔습니다. 임시정부 요원과 가족들이 광저우로 피난 올 무렵, 중국군에 복무하면서 쉬구위안로후가 1-13호에 살고 있었습니다. 1940년 7월 말, 한국독립당 및 조선민족혁명당 등 주요 독립운동 세력이 참여한 ‘7당 통일회의가 쓰촨성(四川省) 치장(綦江)에서 열릴 무렵, 채원개의 연락처가 군사우편함〔‘廣東軍郵 72局 劍字 89號 附’〕인걸 보면 임시정부 일행이 광저우를 떠날 때, 채장군은 광저우에 남아서 중국군에 복무하고 1940년대 초반 광복군에 합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940년 8월 10일, 임시정부가 한국광복군 창건을 준비할 무렵, 광복군총사령부 참모로 임명되고,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립되는 날, 채원개는 광복군 총사령부 참모로 처장에 임명되었습니다. 1940년 성립된 광복군은 1907년 8월 1일 일제가 강제 해산한 대한제국의 군대를 계승했습니다. 광복군 창군식에서 임시정부 외교부장 조소앙(趙素昻, 1887~1958)은 성립 보고를 하면서 한국광복군은 1907년 해산된 대한제국의 군대를 계승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일제 강점기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된 이후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이 일본군 병력과 맞서 일제의 국권 강탈을 막았고, 만주로 이동한 의병들이 독립군으로써 대한제국의 군대를 대신해 나라를 지켰기 때문입니다. 채원개는 만주에서 의병들이 조직한 대한독립단에서 활동한 이래 27여년간 줄곧 독립군으로 활동했으니 광복군 참모 자격이 충족됩니다. 1940년 9월 광복군 창설뒤 광복군 제1지대장 채원개 장군과 김구임시정부 주석과 찍은 사진.「秘話 第一共和國」, 『동아일보』, 1973년 8월 24일. 1942년 4월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합류한 이후, 채원개는 고급참모에 임명되었습니다. 1944년 한국광복군 제1 지대장에 전임되어 후난(湖南), 간(赣)지역에서 적군 중 한적 군인의 귀순을 유도하고 적 후방교란 및 유격 작전에 전력하다가 해방을 맞았습니다. 가족을 교포 일행과 한국으로 출발시킨 다음, 채원개는 광복군 제1지대를 인솔해서 한커우(漢口)에 도착하여 창사(長沙) 방면에서 이동해 온 전 일본군 내 한적사병(韓籍士兵)으로 구성된 1개 대대 규모의 한인부대와 합류해서 구강(九江)을 거쳐 난징에 도착했습니다. 당시 미군정이 광복군의 입국을 거절하고, 개인 자격으로 입국만을 허락하였기에, 부대를 해체한 다음, 1946년 초, 난징을 떠나 상하이에서 선편으로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부산항에 도착하여 세관창고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 열차편으로 서울로올라 와 가족과 재회한 그는 서울역 앞 수용소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다시 장충동에 있는 수용소에서 지내다가 남산 밑 한미호텔로 숙소를 옮겼습니다. 참고자료 김학민 이병갑 주해, 『백범일지』, 학민사, 1997년3월.김신,『조국의 하늘을 날다』, 돌베개, 2013년 12월.채원개 공적자료, 국가보훈처.「총사령부 기구의 변화」, 『한민족독립운동사』 4권, 국사편찬위원회, [DB/OL]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 장군(7) 채원개 장군의 광저우 활동채원개 장군이 황푸군관학교에서 일한 시간은 길지 않았습니다. 황푸군교 부임 후 그 다음 해, 국공결렬로 인해 황푸군관학교가 문을 닫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1927년 4월 18일, ‘4.18 사변’으로 불리는 장제스(蔣介石, 1887~1975 )의 반공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황푸군관학교 구락부에서 회의 도중 갑자기 공산당원과 혁명 학생 200여 명이 체포되어 중산함(中山舰)에 억류되거나 난스터우(南石头) 감옥으로 호송되어 구금되고 일부는 사살되었습니다. 사회주의 계열의 많은 학생들이 퇴학을 당하거나 자퇴해서 학교를 떠나고 800여 명이나 되던 한인 혁명가들도 광저우를 떠나고 광저우에는 70여 명이 남았습니다. 황푸군관학교의 한인들은 우한으로 이동하고 황푸군관학교도 일부 학생들을 난징(南京)으로 이동시켜 졸업시키고 황푸군관학교를 대신하는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설립했습니다. 또 그해 12월 발생한 광저우 코뮌으로 인해 국공합작에 기대를 걸었던 한인의 희망은 다시 한번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채원개는 광저우에 남아 중국군에 입대했습니다. 국민당 군대의 중교(중령)신분으로 광둥수정공서(广东绥靖公署)에서 우전(邮电) 검사를 하는 한편 광저우에 남은 교민들을 결속했습니다. 1928년 1월 채원개는 ‘유월한국혁명청년회’ 집행위원의 일원으로 중산대학 법학원 강당에서 개최한 ‘유월한국혁명청년회’ 임시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종래에는 동회의 입회자를 청년으로 제한했으나 조선 독립을 위해서는 남녀노소를 차별하지 않고 다수의 동지를 결속해야 한다는 이유에서 ‘유월한국혁명청년회’ 명칭을 ‘유월한인혁명회’로 변경했습니다. 1927년 12월 공산당 폭동으로 인해 줄곧 혼란 상태에 빠져 있던 황푸군관학교는 이듬해 5월부터 교무를 회복했습니다. 1929년 9월 교장의 명령으로 학교명을 ‘국민 혁명군 황푸군관학교’로 개명하고 1930년 9월 제7기생을 졸업시켰습니다. 웬만한 실력으로는 중국군대의 참모장이 될 수 없는데, 1930년, 채원개는 재직했던 황푸군관학교 교관에서 중국군 59사(師) 작전참모로 전임하였고, 이듬해 봄 제2사 교도 단장으로 전직했습니다. 1931년 중국군 제1군에 전직하여 참모처장, 교도단장 등 직을 맡고 공산당 토벌 작전에도 참가했습니다. 1932년 상하이사변(上海事變)을 계기로 일본의 대륙 침공이 본격화된 이후, 중국군 독립 제4사 참모장으로 근무하였습니다. 1932년 윤봉길 홍커우공원 폭탄 투척 사건 이후 광저우에 다시 한인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상하이에서 활동하던 지사들이 하나 둘 광저우로 피신을 오고, 중산대학에도 약 30여 명의 유학생들이 입학했습니다. 일제 자료에 의하면, 1934년 6월, 채원개는 한국독립당 광둥 지부(소재지, 廣州市 東山瓦窑後街 41호) 간사였습니다. 채원개는 유월한인광복회 명의로 광저우를 찾아오는 유학생들에게 학교를 소개했습니다. 유월한인광복회는 중산대학과 협력했는데 중산대학은 한인 학생이 입학할 수 있도록 정원 수를 남겨 두고 비밀경로를 통해 한국독립당이 추천하는 학생들을 수용했습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전까지 중산대학의 한인 학생은 80여 명이었는데 이들의 학비 일부를 ‘유월한인광복회’가 부담했습니다. 이런 상황으로 보면 유월한인광복회는 임시정부 산하 한국독립당 활동을 대신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일전쟁이 전면적으로 확대되어 채원개는 중국군 제 19집단군(총사령 香翰屛)에 배속되어 작전 참모로서써 상하이, 난징(南京) 방위전에 참가했습니다. 1938년 봄 제4로군(路軍)으로 복귀하여 고급참모직을 맡았습니다. 그러던 중 전 정의부 중앙군사위원장을 지낸 이준식(李俊植)이 4로군 총사령부 작전참모로 광저우에 부임해 왔습니다. 1938년 3월 안창호(安昌浩, 1878~1938)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채원개는 유월한인광복회 명의로 4월 15일 장사(长沙)에서 거행되는 안창호 추도회에 참석해 달라고 요청하는 안내장을 중국 각 기관에 발송했습니다. 애도를 표시하는 완장의 접수처가 곧 광주시 동산(东山) 쉬구위안로(恤孤院路) 1~13호 채씨댁(蔡宅)이었으니 채원개의 집이 곧 유월한인광복회 연락처로 보입니다. 참고자료안병무, 《칠불사의 따오기》, 범우사, 1988년 5월.채원개, 「자필이력서」, 박정신 외, 『희산 김승학선생 독립운동사 자료 정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년 조은경, 《1930년대 중국 광주지역 한인 독립운동세력의 형성과 변천》,《한국민족운동사연구》제81호 2014년.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 장군(6) 황푸군관학교 교관1926년 봄, 채원개는 임시정부의 지시에 따라 육군주만주참의부 군무부장직을 사임하고 황푸군관학교로 파견되었습니다. 신해혁명 때부터 숙부 천치메이(陣其美, 1878~1916)와 약소민족 해방운동에 종사하던 천궈푸(陳果夫1892~1951)가 프랑스조계지 내에 새로 개업한 허타이신(河泰新)호텔에 사무실을 두고 비밀히 학생을 모집하고 있었습니다. 황푸군관학교는 임시정부에 입교생 추천을 의뢰했고, 임시정부의 조소앙(趙素昻, 1887~1958)과 박찬익(朴贊翊, 1884-1949)이 한인청년을 황푸군관학교 학생 모집 책임자 천궈푸에게 소개하면 춴궈푸는 소개신과 배삯을 주어 광저우로 보냈습니다. 한인청년들의 황푸군관학교 입교상황을 보면 3기에 5명, 4기에 24명, 5기에는 200여명이나 입교를 합니다. 게다가 쑨원의 국공합작에 고무된 한국 청년들까지 유입되어 1926년 말 광저우에는 한인 800여 명이 집결했습니다. 이들 중 400명은 만주의 정의부, 참의부, 신민부에 소속된 독립군 출신이었으며 모두 황푸군관학교 학생대에 입교를 원했습니다. 1926년 겨울, 채원개는 임시정부로부터 안경근(安敬根, 1896~1978)과 황푸군관학교 파견 명령을 받고 참의부 3중대의 ‘함(咸), 장(張)’ 두 학생과 함께 광둥으로 왔다고 합니다. 만주에서 광저우까지 오는 길도 만만치 않네요. 환런현(桓仁縣)을 출발하여 푸순(撫順)을 지나 펑톈(奉天)에서 중국 국적(中國 國籍)을 취득하고 신사와 학생으로 변장한 다음, 경봉선(京奉線) 열차 편으로 톈진에 도착하여, 다시 윤선(輪船)을 타고 상하이에 도착했습니다. 프랑스 조계지 최석순(崔錫淳?~1925)의 집에 머물며, 이동녕(李東寧, 1869~1940), 안창호(安昌浩, 1878~1938), 김구(金九, 1876~1949), 여운형(呂運亨, 1886~1947), 이유필(李裕弼, 1885~1945)을 방문해 만주 정세를 보고하고 1주일 정도 머문 다음, 프랑스 윤선을 타고 산터우(汕頭)를 경유해 3일 만에 광저우 바이어탄(白鵝潭)에 도착했습니다. 그 무렵, 황푸군관학교에는 윈난강무학당을 졸업한 양림(楊林, 1898~1936, 김훈)과 최추해(崔秋海, 崔庸建, 1900~1976),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던 손두환(孫斗煥, 1895~?), 공주선, 김철남(金鐵南, 1895~1952) 등이 교관으로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기술주임 교관 양림의 안내로 교장대리 겸 교육장 팡징잉(方鼎英, 1888~1976)을 접견하고 5기생(1926 . 11.15.~1927. 8) 제1학생대 부대장직을 맡았습니다. 채원개의 회고에 의하면, 6기생이 입교할 무렵, “외국인 학생 600여 명을 독립 학생대로 별도 3개 중대로 편제했는데 1개 중대 병력은 200명이었다. 제1중대는 한국인, 제2중대는 베트남인, 제3중대는 말레이시아인으로 편성되었다”고 합니다. 채원개가 독립 학생대 학생대장이었고 4기 졸업생 박효삼(朴孝三)이 한인들로 구성된 제1중대 중대장직이었습니다. 채원개는 독립학생대 대장 외에도 편집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습니다. 참고자료채원개, 「자필이력서」, 박정신 외, 『희산 김승학선생 독립운동사 자료 정리』,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군관학교』, (주)문학과 지성사, 1994년3월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 장군(5) 육군주만주참의부 군무부장1925년 봄, 채원개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주만참의부(駐滿參議府) 군무부장에 임명되었습니다. 참의부가 조직된 배경은 이렇습니다. 상하이에서 국민대표회의가 진행되는 동안, 만주 대한통의부내에서는 복벽주의파와 공화주의파가 적대관계로 대립하여 분열되었습니다. 양기탁(梁起鐸, 1871~1938)을 비롯한 공화계 인사들이 대한통의부의 많은 요직을 차지하고 복벽주의 대표인 전덕원(全德元, 1877~1943)에게는 권력 없는 참모부 부감이라는 직책이 주어진데 대한 불만이 원인이었습니다. 전덕원을 비롯한 복벽주의파 인사들은 1923년 2월 ‘의군부’라는 새로운 독립군단을 만들어 대한통의부를 이탈했습니다. 전덕원 계열이 이탈하고 또 일부 세력이 지도층의 노선에 불만을 품었습니다. 1922년 10월 14일, 전덕원 휘하의 독립군 병사들이 선전국장 김창의(金昌義, 1885~1923)를 살해하고 양기탁을 비롯한 공화계 주요 간부들을 포박하여 구타하는 참혹한 동족상잔이 발생했습니다. 통의부와 의군부가 무력 충돌을 불사하면서 상대를 반목하고 적대시하는 상황이 된 것이지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통의부 의용군 제1중대장 채찬(蔡燦, ?~1924, 백광운)을 비롯한 박응백, 김원상 등이 1923년말 상하이 임시정부를 방문해서 도움을 구했습니다. 그들은 임시정부에 소속되어 오로지 독립운동에만 전력하겠으니 임시정부가 구심점이 되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임시정부가 이를 수락하고 통의부 군사 활동의 기반이 되어 왔던 의용군 1.2.3.5 중대가 이탈해 나가 육군주만주참의부를 결성했습니다. 1925년 8월, 통허현(通河縣)에서 임시정부 산하의 ‘육군주만주참의부’를 결성하고 채원개가 임시정부의 군무 위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육군주만주참의부가 성립된 것은 동족 간의 갈등을 피하고 광복전선을 하나로 통일하려는 의도였으나 역효과도 있었습니다. 통의부 간부들은 남만주 군단이 임시정부에 복종한 것을 수치로 여기고 참의부를 질시하는 성토문을 발표하고 음력 7월 2일 밤, 참의부 제5중대를 공격했습니다. 참의부 대장 김명봉(金鳴鳳, ?~1924) 외 1명이 암살당하고 무기도 강탈당했습니다. 또 암살단을 사방으로 보내 중앙부의 참모장 채찬을 사살했습니다. 압록강변에서는 조선에 가서 일제의 주요 기관을 파괴하고 만주로 돌아오는 참의부 일행 5명을 사살하고 무기 및 군자금 3만 원도 탈취했습니다. 이후 통합운동이 재개되어 독립운동연합체인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가 결성되어 1920년대 만주 지방의 실질적인 정부 역활을 합니다. 만주의 민중들은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 중 어느 부에나 소속된 인민이 되어야 했습니다. 부민 확보를 위해 싸워야 할 적은 그냥 두고 동족끼리 대혈투를 치르는 상황이 발생하자 혁명지사뿐 아니라 일반 민중중에도 독립운동 자체에 환멸을 느끼는 자들이 늘었습니다. 임시정부의 내무 총장 이유필(李裕弼, 1885~1945)이 유혈 충돌 조정 임무를 띤 임정 대표 자격으로 만주 지역에 파견되었습니다. 당시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습니다. “상하이 임시정부 내무부장 이유필 씨는 비서 채원개 씨를 데리고 지난 5월 2일경 흥경현 하남(河南)에서 일박하고, 길림성 반석현(盤石縣) 반석으로 향하였는데, 그 임무는 당지에 있는 정의부와 중동현 석두하자(石頭河子)에 있는 신민부 사이에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는 바, 본시 정의부는 산업중심주의(産業中心主義)요, 신민부는 군사중심주의(軍事中心주의)이므로, 두 단체가 늘 충돌이 많이 생기므로, 이것을 우려하던 임시정부에서는 오는 7월 10일에 개최할 독립당 대회에 □만한 집합을 만들기 위하여 그와 같이 분주히 조정에 노력한다고 한다”. 채원개는 각 부의 지도자들을 만나고 한인사회를 순방하며 통의부와 참의부 두 단체의 갈등 해소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참고자료 채근식, 《무장독립운동비사》, 대한민국공보처, 1949년, 134-135쪽. 「정의, 신민의 갈등과내무 총장의 조정, 독립단 대회의 원만을 도모」, 『시대일보』, 1925년 6월 4일.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심천해관, 101관 임산부 혈액샘플 가지고 출국하던 여객 발견, 태아 성별감정 브로커들 체포 사례 있어최근, 심천해관 소속 황강해관 푸텐커우안(福田口岸)은 101관의 임산부혈액샘플을 가지고 출국하려던 여객을 발견하였다. 상기 여객은 해관에 신고하지 않았고 《출입경특수물품위생검역허가서》(出入境特殊物品卫生检疫审批单)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황강해관은 법에 따라 상기 혈액샘플을 압류하고 사건을 해관 밀수단속부서에 넘겼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위생검역법》 및 《에이즈예방치료조례》에 따르면 인체 혈액과 혈액제품은 해관에서 감독관리하는 출입경 특수물품이다. 《출입경특수물품 위생검역관리규정》요구에 따라 미생물, 인체조직, 생물제품, 혈액 및 그 제품을 우편으로 보내거나 휴대하는 것은 모두 특수물품출입경에 속하며 《출입경특수물품위생검역허가서》를 제공해야 한다. 규정을 위반했을 경우 해관은 법적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근년래, 임산부 혈액을 홍콩으로 보내 태아 성별을 감정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브로커 역할을 하던 사람들이 경찰에 연행된 사례도 발생하였다. 태아 성별감정은 중국내에서 불법이지만 홍콩에서는 합법적이다. 현실속의 많은 예비 부모들은 태아의 성별을 궁금해 하였고 일부 브로커는 임산부의 혈액을 홍콩 의료기관에 보내 태아성별을 감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홍콩사람 이씨는 홍콩에서 보험 세일즈맨으로 일했으며 의사자격증이 없었다. 중국 내지 임산부를 도와 태아 성별을 감정해주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그는 처음에 몇몇 임산부들을 위해 태아 성별을 감정해 주었다. 그러다 2017년에 고발당해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그는 '몇년 동안 약 300여 명의 임산부를 도와 태아성별을 감정해 주었다. 의료기관의 검사비용은 3,000위안이며 고객에게 4,200~5,000위안의 비용을 받으며 한번에 1,200~2,000위안정도 벌 수 있다'며 자백하였다. 나중에 법원은 이씨의 자백태도를 고려하여 그에게 구역 2개월과 5,000위안의 벌금을 내렸다. 온주사람 천모는 현지에서 작은 진료소를 경영하였으며 임산부채혈을 도와주면 인당 800위안의 수고비를 주겠다는 홍콩인 스모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러다 사업이 차츰 확장되면서 의사자격증이 없는 아내와 친구를 임산부 채혈대오에 합류시켰다. 2014년 2월에 적발된 당시 세 사람은 300여 명 임산부를 위해 성별감정을 해주었고 일부 임산부는 여아라는 결과를 보고 낙태한 사람도 있었다.
-
요시노야(吉野家) 음식에서 바퀴벌레 발견, 현장검사에서 또 43마리 발견'요시노야(吉野家) 음식에서 바퀴벌레가 나왔고 현장검사에서 43마리가 나왔다'는 소식이 온라인 실검에 오르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북경 요시노야식품유한회사는 식품안전법 위반으로 북경시창핑구(昌平区)시장감독관리국으로부터 경고 및 6.5만 위안의 벌금을 받았다. 당사자는 2023년 1월 13일 14시 42분에 판매한 김치돼지고기세트에 바퀴벌레가 들어있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당사자 기록을 보면 1개월에 한번씩 주방소독(消杀)을 진행했다. 2023년 1월 16일, 관련 부서는 요시노야에 현장조사를 진행했으며 한차례 소독(2023년 1월 11일)진행후 5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43마리의 바퀴벌레가 발견되었다. 이로써 비록 매달 소독을 진행했지만 환경소독이 철저하고 깨끗하지 않은 것이 음식물에 이물질이 들어간 주요원인이다. 텐옌차에 따르면 요시노야 창핑점은 2015년 12월에 성립되었으며 책임자는 판징(范静)이다. 경영범위는 식품판매 그리고 요시노야, DQ, 차딩딩(茶町叮), 팡숙(芳叔), 강이바오(港壹煲) 로고가 들어있는 선물, 기념품을 판매하였다. 절강 항저우 모 월마트의 도시락위에 바퀴벌레가 기어다닌다는 소식도 주목을 받고 있다. 월마트 관계자 왕모는 '바퀴벌레는 3월 13일 저녁 7시경에 발견되었으며 가게는 저녁에 팔다 남은 음식을 모두 버린다. 매달 3차례 전문 소독을 진행하며 최근 한번은 3월 10일에 진행하였다'며 '바퀴벌레가 어디에서 나왔는지 모르지만 14일에 전문 업체를 찾아 철저하게 청소하고 소독했다'며 전했다. 현재 가게 소속 관할구 시장감독관리부서는 가게에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3월 14일 상해시 시장감독관리국과 계량관리 관련부서는 다푸챠오(打浦桥) 일월광의 일부 가게에 검사를 진행했으며 처우처우훠궈(凑凑火锅)의 무게미달 문제를 발견하였다. 처우처우훠궈 쇠고기는 150g으로 적혀있었지만 실제는 140.43g밖에 되지 않았으며 200g인 와규(和牛)는 177.9g밖에 되지 않아 《소매상품 무게 계량 감독관리방법》을 위반한 혐의가 있다. 그리고 가게에서 사용하는 전자저울도 강제검정(检定)을 받지 않은 것은 《계량법 실시규칙》을 위반한 행위이다. 시장감독관리국은 계량위법행위에 대해 엄숙하게 처리하며 3월 8일부터 13일까지 총 938개의 가게에 조사를 진행해 25건의 계량 위법행위에 입안처리하였다.
-
선전 푸텐구에 일맛나는 사무실!? 중진공-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신청 안내수출BI 선전 중국 독립실 10실 / 공유오피스 6석 선전 수출인큐베이터는 '22.6월 중국 광동성 선전을 중심으로 화남지역(광동, 푸젠, 광시, 하이난)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판로 개척 및 중국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중국 제1의 경제특구이자 경제‧과학도시인 광동성 선전시 푸텐구 중심에 설립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선전대표처)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김성수 소장 전화: +86-(0)755-2382-5190 또는 070-8018-2687 이메일: samkim@kosmes.or.kr 주소: 深圳市福田区金田路2026号 能源大厦 北塔 1401室(518026) POINT 01 입주면적/주요시설 총면적: 721.70㎡ 입주업체 사무실: ①2~5인실 10실(업체당 평균전용면적: 11.84㎡) ②사무실 구성 2인실 6실, 4~5인실 4실 Type평균면적(전용) 2인실 9.00㎡, 4~5인실 16.10㎡ 공유오피스(6석 규모): 1실, 지정석 2석, 비지정석 1석 회의실: 대회의실(20석 규모) 1실, 소회의실(4석 규모) 1실 기타: 전시공간(샘플, 제품, 카탈로그 등), 휴게실, 공용 사무기기(프린터, 팩스 등) POINT 02 입지여건 중국 최대의 ICT 산업 클러스터 지역 2016~2020년 선전의 GDP는 연평균 7.1% 성장하며, 중국의 목표치인 6.5%를 상회하였으며, GDP의 4.93%를 R&D에 투자해 선진국에 못지않은 수준으로 산업의 시초를 닦는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산업의 스마트화 추진 2022년 선전시의 GDP는 32387억6800만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3.3% 증가하여, 세계 10위(서울을 추월)를 차지 선전은 텐센트(腾讯), DJI(大疆), 화웨이(华为), BYD(比亚迪) 등 IT, 드론, 모바일 부품 및 장비, 전기차 및 배터리 분야 민영기업 본사가 소재한 지역이며, 최근 5개년간 포춘에서 발표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선전 소재 기업이 4개 → 8개로 증가하는 등 혁신 민영기업의 성지이자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월마트, 폭스바겐, 삼성전자, LG전자 등 200개사가 투자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통합 및 새로운 도약 추진 중국 정부는 광동성 9개 도시(광저우, 선전, 포산, 동관, 후이저우, 주하이, 중산, 장먼, 자오칭) 및 홍콩‧마카오를 단일 경제‧생활권으로 통합하여 GDP 1조 5천억 달러(한국수준), 인구 6,700만명의 거대 경제 허브 조성하는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선전은 적극적인 대외개방과 협력을 통해 향후 5년 내 세계 최대 만구경제권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2021년 선전 GDP는 3조 700억 위안으로 2020년 2조 7,700억 위안 대비 10.8% 성장하였으며, 상하이, 베이징에 이어 중국 내 3위, 아시아 내 5위 수준 * 2019년부터 선전이 광동성 성도인 광저우 추월 중국의 가장 젊은 도시이자 소비 도시 2022년 선전의 취업인구는 1,249만명에 이르며, 15~59세 인구 비중이 선전시 전체의 79.6%를 차지, 35세 이하 청년 비중이 69.0%에 달하는 등 평균 연령이 33세로 중국 내 젊은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외국기업 종사자, 고학력자, 창업자 등 소득 수준 및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가 많아 소비지출이 높은 도시 POINT 03 진출유망 사업분야 4대 주요산업 - 문화 크리에이티브, 하이테크, 물류업, 금융업 전략신흥산업- 차세대 IT 기술, 첨단장비제조, 친환경 저탄소, 디지털경제 등 미래산업- 생명공학, 항공우주, AI,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장비 POINT 04 입주부담금 수출인큐베이터 입주보증금: 500만원(퇴소시 반환) 월 임차료(1년차 기준): 평균 270천원 내외(호실별 면적으로 산정) 실비부담: 전기료, 회선사용료 등. 업체당 월 50천원 내외 공유오피스: 무료 POINT 05 찾아오시는 길 선전 바오안(宝安) 공항 → 선전 수출인큐베이터(能源大厦) 택시: 공항 15번 출구로 나와 인터넷예약 택시 승차장에서 탑승 후 약 40분(36㎞) 소요,택시비는 평균 100위안 지하철: 공항역에서 11호선 탑승 후 처공먀오(车公庙)역에서 1호선 환승 후 회이잔중신 (会展中心)역에서 하차, D출구로 나와 도보로 약 11분(800m) 소요, 총 60분 소요 (지하철 요금 7위안) 공항버스: NA1 푸텐 밤 노선 이용 가능하나 새벽에만 운영(운영시간은 22:30~05:00, 배차간격 : 30분)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신청방법 ☞ 신청자격 해외시장 개척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으로 입주지원 제외 대상 업종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외 ☞ 입주지원 제외 대상 업종 보기 ☞ 신청서류 <필수서류> ①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② 파견자 이력서(온라인 신청서 상에 첨부한 이력서 출력하여 날인 또는 싸인) 1부 ③ 파견자 재직증명서 1부 ④ 파견자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www.ei.go.kr) 출력분 – 현지 채용인력의 경우 제외 ⑤ 최근 3개년도 재무제표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출력분) * 외감법인의 경우 외부감사보고서도 추가 제출 ⑥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신청 직전 월, 전년도 동월 각 1부) <기타서류>(해당업체에 한함) ① 수출실적증명원 (최근 3개년도 및 현재 수출실적증명원) - 무역협회 또는 은행 확인본 제출요망 (이외 외화획득용물품구매확인서 제출 가능) - 수출인큐베이터 신청지역이 속한 나라에 대한 수출실적을 수출실적증명원에 별도 표기 되도록 발급 요망 (선전 수출인큐베이터 신청 시 중국 수출실적 별도 표기) ② 기업부설연구소 운영 증빙서류 1부 ③ 국문 및 외국어 제품카탈로그, 회사 소개자료 각 1부 ④ 국제규격(ISO, UL, CE 등) 및 산업재산권(특허 등), 정부(유관)기관 수상내역 사본 각 1부 ⑤ 수출유망중소기업, INNO BIZ, 벤처기업 선정서 각 1부 ⑥ 대표자 이력서 1부 ⑦ 기타 회사 홍보자료 각 1부 ⑧ 최근 3개월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자본금이 중소기업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한함) 각 1부 ※ 입주타당성 평가를 위해 평가자가 상기 이외의 서류를 요청할 수도 ☞ 입주기업 신청절차 1. 신청 및 접수: 온라인 신청(글로벌 사업처) 2. 입주타당성 평가: 서류심사, 재무평가, 기업현장 실태조사 3. 현지 시장성 평가: 현지 수출인큐베이터 의견참조 4. 입주기업 선정: 심의위원회/결과통보 ☞ 신청방법 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기업회원 가입 및 로그인 2. 수출인큐베이터 온라인 신청페이지에서 하단에 있는 온라인 입주 신청하기클릭 후 정보입력 및 서류제출
-
광저우한국학교 설립주체자 변경 이양식 거행광저우한국학교 이사회(이사장 신송훈)는 2023년 3월 10일 2층 회의실에서 <광저우한국학교 설립주체자 변경 이양식>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광저우한국학교의 설립주체는 清德商业信息咨询(广东)有限公司에서 韩理丝会(广州)商务服务有限公司로 변경되게 되었다. 중국 화남지역 재외국민교육의 요람인 광저우한국학교에 대한 설립 논의는 2012년 4월 광저우한국학교 설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하며 구체화되었다. 그해 9월 한국 교육부와 중국 광동성 교육청에 설립 승인을 신청하였는데, 중국에서 학교 설립은 법인이어야하므로 신청이 가능한 외자기업법인인 清德商业信息咨询(广东)有限公司을 이용하였고, 이민재 대표는 설립주체자로서 학교 설립 승인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짧지않은 세월이 지났으나 한국학교 이사회는 이민재 대표(전 광저우한국인상공회장)에게 학교설립과정의 노고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담은 패를 전하고 이양식을 진행하였다. 한국학교의 설립주체자인 清德商业信息咨询(广东)有限公司 이민재 대표는 2012년 한국학교 설립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던 당시 한인회장이던 윤호중회장님과 양창수 총영사님을 공동추진위원장으로 하여 7인의 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된 시기를 회고하며, 한국학교가 지금 이렇게 잘 자리잡기까지의 남다른 감회에 젖는다는 소감을 밝혔다. 이번 설립주체자 이양식을 통해 광저우한국학교의 설립주체는 광저우한국학교 학교법인 이사진들이 설립한 공동 주체의 신규법인인 韩理丝会(广州)商务服务有限公司로 변경되게 되었다. 이로써 광저우한국학교는 2027년 학교 이전 계획에 있어서도 이사회와 학교의 협력적 업무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송훈 이사장은 우리 광저우한국학교가 이번 설립주체 변경을 통해 개인이 아닌 한국학교 이사회가 명실상부 운영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갖게 됨을 뜻깊게 생각하며, 이로써 학교법인의 공공성이 확보되어 광저우한국학교가 교민 전체의 염원을 담은 공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한국학교 이사장 및 이사들의 임기 내에만 임원이 되는 정관을 가진 재단법인 韩理丝会는 한국학교 운영에 대한 책무성을 공고히 하고, 대한민국 영사관의 지도를 받으며, 대한민국 교육부 파견 교장의 학교 교육활동을 위해 더욱 더 조력할 것임을 약속하였다. 또한 이 날은 한국학교 개교 및 야윈청 교사 이전 시기에 동고동락했던 분들이 멀리에서는 ZOOM으로 또는 현장에 참석하여 함께 기쁨을 나누었다. 아래 사진은 광저우한국학교 건립을 위해 많은 교민들의 정성을 기록한 명예의 전당 그 이름 앞에 서서 아름다운 기부를 뿌듯해 하시는 모습이다. * 광저우 한국학교는 2013년 7월 중국 광동성 교육청의 학교설립 인가를 취득하고 2013년 9월 84명이 입학하며 개교하였다. 이후 2015년 3월 1일 부로 대한민국 교육부의 학교 운영 승인을 취득하여, 한-중 양국 정부로부터 취득해야 할 모든 법적 요전을 갖춘 화남지역 유일 합법적 대한민국 재외국민 교육기관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초등 6학급, 중등 6학급, 고등 6학급 총 18학급 380명의 학생들이 대한민국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자료제공: 광저우한국학교
-
광동성조선민족연합회 신년하례회 및 민속축제 폐막식, 하나골프대회 개최광동성조선민족연합회(회장 황남철)는 지난 2023년 3월 1일, 동관 미션힐에서 신년하례회 및 제8기 민속축제 폐막식과 제42기 하나골프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는 하나조선족골프협회(회장 김철용)가 주최한 제42기 골프대회를 시작으로 광동성 조선족 골프애호가들이 우의를 다지며 2023년 신년회를 힘차게 열어 나갔다. 신년하례회 및 민속축제 폐막식에는 광동성조선민족연합회 산하의 각 지역 단체 임원과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성진 비서장이 2022년 행사보고, 2023년 연합회 조직구성 안내와 신년계획을 발표했다. 2021년부터 광동성조선민족연합회 제4대 회장으로 활약하고 있는 황남철 회장은 개회사로 “조선족의 열정과 끈기로 뭉친 연합회가 날로 발전하고 있는 것에 강한 긍지를 느끼며, 앞으로 광동성 조선족을 위하고 후대를 위한 연합회 역할을 더욱 활성화 하겠다”며 민족발전에 강한 의지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초청된 주요인사는 十一届全国人大常委/延边州企业联合会 金硕仁 会长, 延边州人大常委会(一级巡视员)李忠文 副主任, 월드옥타본부 남기학 감사, 세계한인여성네트워크 중국지역담당관 겸 전국애심여성포럼 전경숙 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광저우협의회 손종수 수석, 칸칸차이나/라이프매거진 김대순 대표가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 주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연변TV 연예인들과 연변가무단이 대거 참석하여 고향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조선족 민족문화 공연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었다. 광동성 조선족사회 각계각층의 행사 참석자들은 코로나의 힘든 시기를 마치고 개최된 이번 광동성조선족연합회 신년회는 어느 해 보다도 타향살이 시름을 달래 준 멋진 행사였다고 입을 모았다. 광동성조선족연합회는 2008년에 성립되어, 연합회를 중심으로 산하에 광주/동관/혜주/중산협회/불산협회, 기업가협회, 노인협회, 중년협회, 여성협회, 청년협회, 축구협회, 배구협회, 골프협회, 한글주말학교 등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제, 문화, 교육, 스포츠 각 분야에서 광동성 조선족사회를 하나로 융합시키고 있으며, 광동성에 진출하여 새롭게 정착해 나가는 젊은 조선족들에게 본보기와 든든한 뒷심이 될 수 있는 우수 회원들로 구성된 비영리단체이다.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장군(4) 이승만 임시대통령 탄핵위원중국의 제2차 직봉전쟁에 참가 후 채원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대위에 임명되었습니다. 1925년 2월 교포들의 권면에 의해 임시의정원 보궐선거 후보로 나섰다가 임시의정원 평안남도 대의원에도 선출되고 3월에는 임시정부 대한민국탄핵재판소 심판위원에 선임되었습니다. 1919년부터 1925년까지 6년 동안 이승만은 임시정부의 대통령이었지만 실질적인 대통령 역할을 못했습니다. 당시 상하이 임시정부가 겪는 상당한 혼란은 임시 대통령 이승만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가 많았고 대통령이 출발부터 임시정부의 힘은 분산시키고 발전을 가로막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드러난 문제는 이승만이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던 1919년 9월, 미국 대통령 윌슨에게 국제연맹 한국위임 통치안을 제출했습니다. 이완용은 있는 나라를 팔았지만, 이승만은 없는 나라를 팔았다는 것이지요. 이 일로 인해 임시정부 각료들이 이승만 불신임 결의를 하고 사퇴를 종용했지만, 본인은 거부했습니다. 이승만은 사태를 수습하려고 상하이로 왔습니다. 그러나 1920년 12월부터 5개월간 상하이에 체류하는 동안,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분란만 키운 채 5월 17일 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당초 독립이 오래 걸리지 않으리라 판단해서 임시 대통령의 임기를 정하지 않아 이승만을 물러나게 하기 위해서는 탄핵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채원개는 최석순(崔錫淳, 1892~?), 문일민(文一民, 1894~1968) 등 의원 10명과 임시 대통령 이승만 심판위원의 한 사람이 되어 이승만 임시 대통령 탄핵서를 의정원에 제출했습니다. 3월 11일 발표한 ‘임시 대통령 이승만 심판서’ 내용은 이렇습니다. 이승만은 외교를 구실로 직무지를 떠나 난국 수습과 대업 진행에 아무런 성의도 다하지 않고, 허무한 사실을 제조 간포(刊布)하여 정부의 위신을 손상하고 민심을 분산케 하였음은 물론, 정부의 행정을 저해하고 국고 수입을 방해하며 의정원의 신성을 모독하여 공결(公決)을 부인하고, 심지어 정부의 행정과 재무를 방해하며 임시헌법에 의거 의정원의 선거로써 취임한 임시 대통령으로서의 자기 지위에 불리한 결의인 의정원의 결의를 부인하여 한성(漢城) 조직 계통 운운함과 같음은 대한민국의 임시헌법을 근본적으로 부인하는 행위이다. 이와 같이 국정을 방해하고 국헌을 부인하는 자를 하루라도 국가 원수의 직에 둠은 대업 진행을 기약할 수 없고 국법의 신성을 보장할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순국 제현이 눈을 감을 수 없는 바이며, 또한 충용(忠勇)의 소망이 아니기로 주문과 같이 심판함. 1925년 3월 18일 탄핵안을 가결하고, 3월 21일 심리하여 면직을 결정한 후, 3월 23일 이승만 탄핵 심판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탄핵 문제가 처리되자 곧바로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을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참고자료 채원개 공적자료, [DB/OL] 국가보훈처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42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1권, 국사편찬위원회, [DB/OL]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