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목록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장군 (1) “누가 채원개에게 국방의 의무를 맡겼는가?백범 일지에 이런 글이 있습니다. “대가족 일행보다 하루를 먼저 떠나 광주에 도착한 후 이전부터 중국군계통에 복직하던 이준식, 채원개 양인의 주선으로 동산(東山)의 백원(柏園)은 임시정부 청사, 아세아여관은 전부 대가족을 수용케 되었으니…… 중국군에 복무하고 있던 이준식, 채원개 장군은 누구일까요? 먼저 채원개 장군(蔡元凱, 1895-1974)장군을 소개하겠습니다. 채원개는 1919년 고향은 평안남도 영원입니다. 고향에서 친구들과 삼일만세시위를 하다가 체포되고 탈옥해서 만주로 망명했습니다. 1945년 해방이 될 때가지 27년간을 독립군에 종사하고 1946년 귀국하여 해방된 조국에서 28년을 살다가 1974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채원개 장군에게는 이승만을 탄핵한 과거가 있었습니다. 해방 후 이승만 대통령이 집정하다가 1960년 정권에서 물러났으니 14년간을 자신이 탄핵한 대통령 치하에서 불편하게 살았습니다. 이승만 전대통령이 하와이로 망명하기 전까지 그의 독립운동의 공로는 인정을 받지 못했죠. 한 때 사단장이었지만 국가보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고 한 달 5백원 월세집에 막내 손자가 육군피복창에 근무하여 벌어오는 적은 수입으로 가족 4명이 살았습니다. 1963년 제18회 광복절을 기해 새정권이 채원개에게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려고 했습니다만, 채원개는 유관부서의 통보를 받고 “광복운동에 참가한 것은 후일의 공명을 위한 것이 아니고 맡겨진 의무를 다했을 뿐”이라며 극구 표창받기를 사양했습니다. 이미 68세의 노인이었습니다. 채원개는 내각사무처장에게 편지를 보내 “광복군 출신유공자 명단에 포함된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맡겨진 의무”의 일부를 다했을 뿐이니 이를 다른 유공자에게 돌려주기 바란다”고 대통령 표창수여를 거부하고 과분한 표창장을 반환하고 나니 몸이 가쁜하다고 말했습니다. 1968년에서야 건국국민 훈장을 받았습니다. 기자가 채원개가 살고 있는 부천군 신앙촌을 찾아 갔을 때, 그는 단칸방에 누워 앓고 있었는데, 24세의 막내 아들이 한전 검침원으로 벌어오는 월수입 5천원으로 겨우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채원개는 기자에게 “다 죽게 된 늙은이에게 훈장을 주기보다는 차라리 자식들에게 직장을 주어 생계에 위협을 받지 않게 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 무렵 건국훈장 수여자 본인은 매월 연금 5천원, 가족수당 1천원(1인당), 간호수당 2천원, 생계수당 2천원씩을 받을 때였습니다.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중국한인역사] 채원개장군(2) 대한독립단 군사 훈련 교관구한말 국운이 기울어져 가던 무렵, 채원개는 고향 평안남도 영월군에서 안식일 교회 선교사들이 설립한 의명소학교에 다녔습니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너희에게 의로운 해가 떠올라서 치료하는 광선을 발하라”라는 성경구절을 근거로 의명이라 이름을 짓고 청교도 정신으로 운영하던 학교입니다. 의명학교를 졸업한 채원개는 1910년 서울 오성학교에 입학했는데 오성학교는 1908년 서북5도의 서북협회 지도자들이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서북협성학교가 전신이며 교육을 통한 국권회복과 민족교육을 표방한 학교입니다. 오성학교가 패쇄되자 채원개는 1915년 조선보병대에 입대해서 4년간 복무했습니다.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하고 황실보호 명목으로 약 200명을 남긴 조선보병대입니다. 조선보병대에 근무하던 중, 1919년 3ˑ1운동이 발생하여 고향 영원에 가서 고향친구들과 모의하고 군민을 규합하여 3월 28일 만세운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었습니다. 감옥에서 탈옥한 채원개는 장진과 강계 등지에 잠시 피신해 있던 중 상하이에서 오는 사람을 통해 상하이와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정화을 듣고 북만주행을 결심했습니다. 북만주로 가는 길에 통화현 콰이다마오즈(快大茂子) 신흥학교 분교에 들렀는데 조선 보병대 동료 강노국 참교가 교관으로 있었습니다. 강노국이 채원개에게 신흥학교에 남아서 군사훈련을 시키자는 제의를 거절하고 산웬푸(三源浦) 대한독립단 본부를 찾아가서 대한독립단 총단장 조맹선(趙孟善, 1872~1922)를 만나 북만주행을 접고 대한독립단 교관으로 입단했습니다. 대한독립단이 조직되기 전에는 의병장 유인석(柳麟錫, 1842~1915), 박장호(朴長浩, 1876~1921), 백삼규(白三圭, ?~1920), 조맹선(趙孟善,?~1922), 전덕원(全德元, 1877~1943), 홍범도(洪範圖, 1868~1943) 등이 만주에 정착했습니다. 초창기 만주에 온 의병들은 첩첩산중에 집을 지어 사냥이나 벌목으로 업을 삼고, 쌀이 없어 감자와 콩을 먹고 살면서도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고 장기적으로 항전 태세를 갖추었습니다. 의병장들은 만주 일대에 분산하여 교민들을 다스리는 한편 정보원들을 국내로 보내 일본의 군사정보를 탐지하고, 주요시설을 파괴하거나 유격전을 펼치고 대한제국을 회복하려고 애썼지만, 한일합병 이후 10여 년간 의병 활동은 별 진전이 없었지요. 1919년 삼일 만세 운동이 일제의 군화와 총칼에 무참히 짓밟히자 십여만 명의 1919년 3월 15일, 기회를 기다리며 흩어져 활동하던 의병 지도자들과 유림인사 560여 명이 류허현 산웬푸 시거우(西沟) 대화셰(大花斜)에 모였습니다. 지금까지 의병장들이 산발적으로 운영하던 기존의 향약계, 농무계, 포수단 등을 하나로 통합하고 밀려오는 망명객과 열혈 청년, 만주와 연해주 지방에 사는 한민족 청소년까지 규합하여 ‘대한독립단’을 결성했습니다. 압록강 대안 남만주는 지리적으로 국내에 유입되는 청년들을 쉽게 흡수하고 또 이들이 국경지대를 교란하거나 국내에 침투해서 유격전을 전개하기에도 유리했습니다. 채원개는 출동 부대 책임자로 독립군 1개 중대를 급편성해서 국내로 진입해서 압록강 변에서 10여 차례 유격전을 전개하며 평양으로 향했습니다. 11월 9일 새벽 영변군 고성면 북쪽 산속에서 일본군과 맞닥뜨려 전투를 벌이다가 채원개는 왼쪽 어깨에 관통상을 입고 관뎬현(寬甸縣) 샤오야허(小雅河) 임시기지로 철수했습니다. 기지라고 하지만 병사(兵舍)도, 훈련장도, 시설이 없습니다. 피복이란 바지·저고리 1벌, 배낭 1개, 짚신 1켤레, 두건 1개였으며, 주식은 옥수수와 좁쌀밥, 반찬은 된장과 소금이었고 막사는 산속 숲속에 나뭇가지와 풀로 만든 천막입니다. 채원개는 심산에서 청년들을 훈련해 영원, 창성, 의주, 삭주 등 평안도 일대로 보내고 대한독립단의 국내에서 맹활약을 했습니다. 독립군들은 낮에는 숨어 있다가 야간에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대한독립단이 워낙 맹활약을 하니 압록강 일대에서 일제와 협력하던 헌병보조원 면서기 등 친일파들이 관복을 벗고 탈주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는 일도 속출했습니다. 참고자료 채원개, 「자필이력서」, 박정신 외, 『희산 김승학선생 독립운동사 자료 정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년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 2008년 12월 글: 한국독립운동역사연구회 강정애
-
‘전방 13.6km 내리막길에서 37명 사망했다’는 경고표어가 주목받아최근, 절강 타이순현(泰顺县)의 모 도로변에 ‘전방 13.6키로 내리막길에서 37명이 사망했다’는 경고표어 영상이 쇼셜미디어에서 퍼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경고표어는 235국도 타이순룽징구간(泰顺龙井段)에 설치되어 있었다.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상기 구간에서 총 27건의 중대교통사고가 발생하여 37명이 사망하였다. 한 굽은 길은 ‘죽음의 길’(死人弯)이라는 끔찍한 이름도 있는데 300m도 되지 않는 굽은 길에서 6명이 사망하였다. 현지 공안국 교통경찰 중대장 임광세(林光岁)는 ‘룽징 터널을 나오면 바로 내리막길이며 총 37개 굽인돌이가 있으며 평균 경사도는 3.8%이다. 만약 운전기사가 산간지대 운전경험이 부족하고 현지 도로상황을 잘 모르면 쉽게 교통사고가 발생한다’며 소개하였다. 몇년 동안 발생한 교통사고에서 70%이상의 사고는 대형 화물차 브레이크 고장으로 발생했다. 2016년부터 타이순공안은 내리막길에서 2키로 떨어진 곳에 3곳의 전자알림장치(电子侦察哨)와 경고글을 세워 놓았다. 그리고 대형 화물차 급수통로를 만들고 24시간 당직인원을 배치해 화물차 브레이크시스템의 급수와 안전 행차주의보를 강화하였다. 2016년부터 내리막길의 교통사고는 같은 시기보다 80% 줄었으며 사망자도 더이상 나오지 않았다. 누리꾼들은 ‘내용이 많이 충격적이다’, ‘충격력이 강해야 교훈으로 받아들인다’, ‘도로를 개선하는 쪽으로 고려하는 것은 어떤지?’하는 반응을 보였다.
-
중국지역회의 2023 운영위원회의 개최민주평통 중국지역회의에서는 주중 한국대사관 정재호 대사님 초청 신년 간담회 및 운영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중국 베이징 내에 주재한 애강산 식당에서 진행된 정재호 대사 주최 평통 운영위원들과의 간담회에서는 설규종 부의장을 비롯한 베이징, 칭다오, 상해, 대련, 청두 등 각 지역의 운영위원들이 참석하여 한반도 평화통일 증진을 위한 각 지역의 활동을 소개하고 아울러 각 지역의 전반적인 교민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의견을 드리는 자리를 가졌다. 정재호 대사님께서는 해외에 계시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중국 각 지역에서 노고해주시는 여러 분들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는 말씀과 더불어 앞으로 자주 기회를 만들어 소통을 더 해나가자는 뜻을 주셨다. 오찬 후 이어진 운영위원회에서는 각 지역 협의회의 활동방향 공유 및 사무처 이승봉 과장의 2023 활동방향에 대한 안내 및 중국지역회의 사업안 의결 순으로 2023년 4월 중국지역 전체 자문위원들이 3년여 만에 함께 하는 평화통일강연회 및 워크숍을 칭다오에서 진행하는 사업을 만장일치로 의결하였다. 한편 이틑날(2.9) 이어진 운영위원들과 베이징 협의회 간부위원들의 만리장성 등반에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기원 대한민국 평화 통일과 동북아시아 평화 기원’하는 등반으로 그 대미를 마쳤다.
-
재외동포문학상, 선전한글학교 하선영 교사가 수상해제24회 재외동포문학상 공모에 하선영 선전한글학교 교사가 가작을 수상하였다. 이에 광저우총영사관 한재혁 총영사는 하선영 교사를 초청하여 상패 전수식과 함께 축하를 전했다. 또한 한총영사는 수상자에게 우리 총영사관 관할지역에서 전 세계 동포 대상 문학상 행사의 수상자가 배출된 것을 축하하고, 앞으로 우리 교민 사회의 문학진흥 및 한중문화교류 활동에도 기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재외동포문학상은 전 세계 재외동포의 한글문학 창작을 장려하기 위해 재외동포재단에서 매년 시행하는 사업으로, 하선영 교사는 일반산문(수필) 부문에서 “할머니의 간장”이라는 작품으로 가작을 수상하게 되었다. ※재외동포문학상 공모 부문 : 성인(시, 단편소설, 산문), 청소년(글짓기), 입양동포(입양수기) 사진제공: 광저우총영사관
-
5만 위안 예금하는데 은행에서 자금출처증명 요구? 출처말하지 못하면 예금하지 못한다?최근, 절강 후저우의 모 여사는 쇼셜미디어에 은행에 5만 위안 예금하러 갔는데 은행직원이 '어느 회사에서 출근하냐? 돈은 어디서 왔느냐? 자금출처를 증명해라!'는 식으로 꼬치꼬치 물어 죄인처럼 심문받는 느낌이여서 불쾌했다는 내용을 올렸다. 그리하여 그녀는 '백위안을 빼고 49,900위안을 예금했는데 은행에서 바로 처리해주었고 식용유도 선물로 받았다'며 말했다. 2021년에 중국인민은행은 5만 위안이상 현금 입출금업무에 관한 규정을 내놓았지만 각 은행마다 집행하는 기준이 달랐다. 현재 절강성은 30만 이상 현금 입출금에 대해 관리를 진행한다. 즉 입출금이 30만 이상이면 은행에 예약하고 돈의 사용용도(去向) 혹은 출처를 설명해야 한다. 건설은행 직원: 5만 위안 이상 입출금하면 자금출처를 알려야 하고 30만 위안 이상이면 내역서(储户填表)를 작성해야 한다. 공상은행 직원: 5만 위안 이상 입출금하면 구두상으로 물어보고 증명을 제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30만 위안이 넘으면 내역서를 작성해야 한다. 화샤은행 관련자: 5만 위안을 입출금하면 불필요하지만 30만 위안이면 등기해야 한다. 하지만 일회성 금융거래이면 예금자는 기초 신분정보 및 자금출처를 제공해야 한다. 일회성 금융거래는 관련 은행에서 예금카드 혹은 거래기록이 없지만 송금해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금융기관은 고객의 유효신분증정보 복사건 등 서류를 보관해야 한다. 은행 직원은 '어떤 고객은 이것저것 물어본다고 귀찮아하지만 인민은행의 규정과 요구이므로 은행에서는 지켜야 한다'며 말했다. 누리꾼들은 '지난번에 은행에서 돈을 꺼내는데 돈의 용도를 물어 당황했다. 훔치거나 빼앗은 돈도 아닌 자기 돈을 써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말해야 하다니?', '인민은행의 과도한 대처방식같다. 은행직원인 나도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면 '돈세탁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은행직원도 규정대로 일하는 것이다'며 지지하는 반응도 있었다.
-
광서 북해 모 해산물식당, 4개 요리 가격이 1,500위안?! 관련 식당 이미 영업정지 처분받아최근, 여객이 광서 북해(北海)의 모 해산물식당에서 식사하고 1,500위안을 냈다는 사건이 온라인에서 화제다. 1월 24일, 여객은 ‘택시 기사가 해산물식당을 여러번 추천해주었고 북해시은해구(银海区) 금해안대도에 위치한 식당으로 데려다 주었다’며 말하였다. ‘차에서 내리기 전에 기사와 바가지 씌우는 현상이 없는지 확있했을 때 그는 절대 그런 일이 없다며 안심해도 된다’며 장담하였다. 현지 해산물 가격을 잘 모르는 여객은 식당 직원더러 추천해 달라고 요구했고 직원은 해산물을 고른 다음 메뉴에 사인하도록 요구하였다. 당시 ‘밥 먹는데 사인까지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식당 직원은 ‘사인해도 괜찮다’며 말했다. 여객이 주문한 해산물 요리는 볶음요리 2개(油螺辣炒, 贵妃辣炒), 찐 물고기(龙顶清蒸), 올방개(马蹄)였으며 가격은 1,573위안이였으며 핸드폰으로 1,500위안을 지급하였다. 여객은 ‘해산물 가격을 잘 몰라 정상 가격인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민박주인과 얘기하고 나서야 소라볶음의 양이 부족하고 가격이 비싼 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며 말했다. 생각할수록 바가지 썻다는 생각이 든 여객은 자신의 경력을 쇼셜미디어에 올리면서 요리사진, 주문서, 이체기록 등 증거를 부착하면서 ‘이번 경력을 통해 현지 택시 기사를 절대 믿지 말고 여러 곳을 돌아보고 선택하길 바란다’며 조언하였다. 상기 여객의 경력을 보고 여러 누리꾼들도 자신의 경력을 공유하였다. 산동 지난의 천여사는 2022년 여름방학에 아이 데리고 북해로 놀러 갔을 때 현지 주민은 '터미널과 공항에서 일부 택시기사들이 거래하고 있는 식당으로 데리고 가는데 대부분은 현지에서 평판이 좋지 않고 가격이 비싸도 양도 적고 해산물이 신선하지 않는 문제들이 있다'며 알려주었다. 2021년, 모 누리꾼은 남친과 북해에 놀러 갔으며 당시 게요리와 소라요리를 주문했는데 1,100위안을 지급하였다. 나중에 현지 소비자보호협회에 신고해서야 400위안을 돌려받았다. 28일 새벽, 북해시 시장감독국은 ‘조사에 따르면 상기 식당의 저울은 관련 규범 요구에 부합되고 해산물가격도 당일 시장가격 및 기타 음식점과 비교했을 때 합리하지만 택시기사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면서 손님을 데려오도록 하고, 소비자와 충분히 소통하지 않는 상황에서 주문을 내리고, 양이 부족한 등 문제에 대해 영업을 정지하고 개정하도록 요구하고 관련 택시기사에게는 벌금과 운행을 중지하도록 조치하였다’며 통보하였다.
-
독한 간암, 예방하려면… 매년 2회 2가지 검사매년 2월 2일은 간암의 날이다. 1년에 ‘2’번, ‘2’가지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 간암을 초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자는 의미를 담았다. 2가지 검사는 간 초음파검사와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혈액검사)다.간암은 상대적으로 높은 발병률과 낮은 생존율로 유명하다. 먼저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는 6번째, 국내에서는 7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지난해 말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국내 간암 신규 환자는 1만5152명으로 하루 평균 41.5명의 간암 환자가 새롭게 발생했다. 인구 10만 명 당 발생 비율을 나타내는 조발생률은 29.5명, 전체 암 발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1%로 높은 편이다.
-
중국 춘절 행사광저우, 선전, 혜주, 동관 인산인해 공원마다 가족들과 설날 관람객으로 붐벼
-
‘온라인 추모 서비스’ 3D 추모관 개발…누구나 무료 이용 가능이번 설에는 3차원 형태인 ‘3D 추모관’에서 고인을 추억하고 추모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다가오는 설 연휴를 맞아 국내·외 어디서든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온택트(ontact) 기반의 ‘온라인 추모 서비스’ 기능을 고도화해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 온라인 추모 서비스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이후 비대면으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지난 2020년 9월 추석에 처음으로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https://sky.15774129.go.kr/intro.do)’에 도입했다. 특히 해외동포를 포함해 국민 누구나 어디서든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데, 2020년 첫 도입시부터 지금까지 매해 이용 실적은 2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올해는 기존 2차원(2D) 뿐만 아니라 3차원 형태의 온라인 추모관을 추가 개발해 입체적이고 완성도 높은 공간에서 고인을 추억하고 추모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했다. 이에 기존 이용자가 2차원(2D) 기반의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한 경우는 해당 추모관 내의 3차원 전환 버튼을 누르면 입체 형태의 추모관 서비스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추모관에서 문자,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및 네이버 밴드 등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가족·친지·지인 등의 초대도 가능하다. 초대를 받은 사용자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도 고인의 추모 사진과 영상을 공유받고 추모글도 남길 수 있다. 한편 처음 추모관을 개설하는 경우는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한 뒤 ‘추모관 꾸미기’ 메뉴에서 무료로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하면 된다. 이 곳에는 고인의 사진과 영상뿐만 아니라 음성메시지와 추모글도 등록할 수 있고, 차례상 꾸미기와 간편 지방쓰기 서비스를 이용해 아이들과 함께 추모관을 꾸며볼 수 있다. 특히 고인을 봉안시설이나 자연장지 등에 모신 경우에는 안치 사진 등록신청을 통해 해당 장사시설로부터 고인의 실제 안치 사진을 제공 받도록 했다. 주철 복지부 노인지원과장은“온라인 추모 서비스를 통해 코로나19 감염병 외에도 바쁜 일상으로 또는 해외에 거주하여 명절에 고인을 찾아가볼 수 없는 국내·외 모든 국민들이 추모의 마음을 전할 수 있다”면서 “연휴 기간 동안 개인방역수칙을 준수해 가족·친지 모두가 안전하고 뜻깊은 설 명절을 보내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의 :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044-202-3474), 한국장례문화진흥원 시스템관리부(02-6930-9331) [자료제공 :(www.korea.kr)]